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당국, 백두산 화산활동 징후 2003년부터 관측”
북한 당국이 지난 2003년부터 백두산 화산활동 징후를 비밀리에 관측ㆍ분석해왔다고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이 10일 보도했다.

RFA는 북한 ‘양강도 감자연구소 연구원’의 말을 인용, “2003년 평양지진 연구소 내 화산연구소가 소속을 ‘백두산천지 종합탐험대’ 내 화산관측팀으로 변경해 정밀연구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전하면서 북한은 중국과도 관련 정보를 교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양강도의 다른 소식통도 “백두산 탐험대에 소속된 김정숙사범대학 지리학 교수 2명이 최근 평양에서 열린 백두산 화산활동 관련 연구토론회에 참석했다”며 “이미 도당 비서처에서 백두산 화산폭발에 대처하기 위한 작업에 돌입했다”고 RFA에 밝혔다.

이 소식통은 또 “지난해 가을부터 량강도 삼지연군, 대홍단군, 보천군에서 두 차례 실시된 주민대피훈련도 사실상 백두산 화산폭발 대비용이었다”며 “내년 완공 목적으로 진행 중이던 백두산 관광철도 건설과 삼지연군 인근의 대규모 관광체육시설 공사가 모두 중단된 것도 백두산 화산분출을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RFA는 “중국 측과 량강도, 함경북도 일대의 광물자원 및 도시개발 협상을 북한 당국이 서두르는 배경에는 백두산 화산 폭발시 중국 당국을 재건사업에 끌어들이려는 포석도 있다고 한다”며 “하지만 북한 당국은 백두산을 김일성 왕조의 상징으로 선전해왔기 때문에 주민들에게는 화산 폭발과 관련한 내용을 전혀 알려주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미국 U.C. 산타크루즈대학 내 지구과학연구소의 짐 길 교수는 RFA에 “백두산이 과거 크게 폭발했기 때문에 언젠가 반드시 폭발할 것”이라며 “한국과 북한의 공동 연구가 시급하며, 미국의 학자들도 일본, 중국 등과 함께 백두산 연구활동에 동참하는 것이 좋은 대비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현태 기자 @godmarx>pop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