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학생이 이동하며 수업듣는 교과교실제, 2014년까지 전국 중ㆍ고 전면도입
교과별 교실을 지정해 놓고 학생들이 시간표에 따라 교실을 이동하며 수업을 듣는 교과교실제가 오는 2014년까지 전국 거의 모든 중ㆍ고교에 전면 도입된다. 지난 2009년 시범 도입돼 현재 전국 5383개 중ㆍ고교 중 806곳(15%)에서 시범 운영 중인 이 제도는 내년까지 모든 일반계고에 우선적으로 도입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공교육의 질을 높이고 창의적 수업 환경을 만드는 동시에 사교육비 경감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교과교실제 전면 확대 기본계획’을 마련해 9일 발표했다.

기본계획에 따르면 농어촌ㆍ중소도시 6학급 이하 소규모 학교를 빼고 전체 학교의 90%에 이 제도를 도입한다. 모든 교과를 대상으로 일시에 교과교실제를 시행하면 막대한 예산이 소요돼 여건에 따라 ‘선진형’과 ‘과목중점형’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할 계획이다. ‘선진형’은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 대부분 교과에 적용하는 것이고, ‘과목중점형’은 학교 선택에 따라 최소 2개 이상의 교과만 적용하는 유형이다.

궁극적으로는 선진형 정착이 목표인 만큼 ‘과목중점형’을 선택한 학교는 단계적으로 전환하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신설학교는 처음부터 선진형을 도입해야 한다.

현재 전국적으로 중학교 82.9%, 고교 82.0%에서 수준별 이동수업을 하고 있고 2009년 기준 전체 중ㆍ고교의 16.3%인 856개교에 3340개의 유휴교실이 남아 교과교실제를 전면 확대할 여건이 조성돼 있다는 것이 교과부의 설명이다. 교과부는 교과교실제 전면 확대에 맞춰 올 상반기 국어, 영어, 수학 등 7개 교과의 과목별 수업 모델을 개발해 각 학교에 제공할 예정이다.

또 교사 증원을 위해 기간제 교사 채용을 확대하고 실적 우수자는 정규 채용 때 우대하기로 했다. 아울러 기존 행정학급의 의미가 퇴색하게 돼 법령을 개정해 학교급별 교원 배치 기준을 현행 ‘학급 수’에서 ‘학생 수’로 바꾸기로 했다.

교과부는 상반기까지 시도별 수요조사를 통해 세부계획을 확정하고 연내 법령 개정을 마칠 계획이다.

<신상윤 기자 @ssyken>

ke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