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예상했던 일” 단기영향 미미…對中 수출둔화 우려
한국경제 영향은
중국의 금리 추가 인상 결정은 중국 정부의 긴축정책이 본궤도에 올랐다는 신호탄이다.

경제전문가들은 중국의 금리인상이 국내 시장에 미칠 영향은 단기적으로 크지 않겠다고 전망하고 있다.

문제는 중국 정부의 긴축 결정 이면에 숨어 있는 물가 상승 문제와 수출 둔화 가능성이다.

▶‘단기 영향은 적겠지만…’ =엄정명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많이 예상됐던 조치이기 때문에 (국내 금융시장에)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면서 “앞으로도 중국 정부는 금리를 추가적으로 올릴 것이며, 연내 1%포인트 정도 금리가 올라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엄 연구원은 “다만 중국의 금리인상은 물가 상승 압력 때문”이라면서 “한국 정부도 금리를 지속적으로 올릴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의 대(對)중 수출 증가폭 둔화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우리 정부는 중국의 긴축 신호가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

9일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경제정책조정회의에서 국제금융센터 발제로 ‘세계경제 위험요인 점검’이 주요 안건으로 논의됐다. 국제금융센터는 이 회의에서 발표한 보고서에서 ‘중국 긴축 강화 및 경착륙 가능성’을 다뤘다.

국제금융센터는 “올 들어서도 물가 상승 압력이 완화되지 않아 (중국 정부의) 추가 긴축 가능성이 증대되고 있다”면서 “일부에선 중국 정부의 과도한 긴축정책으로 실물경제가 경착륙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물가문제 비상수준 ‘신호’ =한국 정부만큼이나 중국 정부도 물가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는 뜻이다. 

박래원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중국 소비자물가에서 식료품 가격은 34%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춘제 기간 식료품값이 많이 올랐다”면서 “공식 발표는 아직 안했지만 중국 정부가 내부 자료로 접한 올 1월 물가가 비상수준이란 점이 이번 금리인상 결정에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산업경기는 아직 완전히 살아났다고 보기 어렵다. 유가 상승 등 대외요인 때문에 중국 정부는 어렵사리 금리 추가 인상을 결정했다.

박 연구위원은 “지금 중국의 근원물가는 안정적인 상태로 산업활동은 과열되지 않았다”면서 “원자재가격 등 외생적인 변수 때문에 금리를 올린다면 산업활동에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한국 경제도 같은 고민을 안고 있다. 미국 에너지정보청(IEA)이 예상한 올해 세계 원유 총 수요량은 1일 기준 8800만배럴로 사상 최대 규모다. 금속, 농산물 등 주요 원자재가격도 수급 불안에 따라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관측됐다.

이날 경제정책조정회의에서 국제금융센터는 “세계 경제가 회복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타이트한 수급 등으로 구제 원자재가격이 상승세를 지속하겠다”는 전망을 내놨다.

조현숙 기자/newea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