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취임 2돌 윤증현 ‘구원등판 승리 앞둔 힘든 마무리’
‘구원투수로 등판해 승리를 앞둔 힘든 마무리’

윤증현 장관에게 지난 2년은 공직생활이래 가장 힘들었지만 보람된 시간이었다.

시간자체도 ‘벌써 2년인가’ 싶을 정도로 빨랐다.

“참으로 두려운 마음으로 섰다”고 취임 소감을 밝혔던 윤 장관이 오는 10일 취임 2주년을 맞는다.

이 사실에 주위에서 뿐만아니라 윤 장관 스스로도 놀란다.

앞으로가 문제다.

지금까지는 위기 극복이라는 나아갈 목표가 선명했지만 이젠 그 과정에서 파생된 각종 문제와 부작용을 해결해야하는 불투명한 미래와 싸워야 한다.

대내외 환경은 더욱 복잡해졌다.

그래서 윤 장관 개인에게는 더 힘든 시간이 될 수도 있다.

등판은 구원으로 했지만 재임기간으로 따지면 승리투수를 눈앞에 둔 상황.

하지만 그가 온전히 승리투수를 따내기에는 남은 이닝이 쉽지 않다.

윤 장관은 지난 2년간 경제사령탑을 맡으며 대외 불확실성 속에서 정상화를 이끄는 데 핵심 역할을 해왔는 것이 전반적인 평가다.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는 작년 4월 한국을 “교과서적인 위기극복 사례(textbook recovery)”로 꼽기도 했다.

그는 국가 재정의 과감한 투입등 경제컨트롤 타워의 면모를 십분 발휘, 2009년에 예상을 깨고 0.2% 플러스 성장에 이어 작년엔 6.1% 성장이라는 성과를 냈다. 또 지난해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에 밑거름이 되는 등 국격 제고와 함께 글로벌 공조에서도 능력을 보였다.

작년말 사실상 ‘절정’에 올랐던 윤 장관에게 앞으로는 득보다는 실이 더 많아질 수도 있다.

새로 꾸려진 3기 경제팀을 이끌고 헤쳐나갈 과제는 산적하다.

우선 정부의 정책 목표인 5% 성장과 3% 물가를 동시에 잡아야 한다.

이와 관련 윤 장관은 최근 “나를 믿어도 좋다”고 했지만, 이상 한파와 종식이 불가능해 보이는 구제역 파동, 유가를 비롯한 국제원자재가격 상승 등 대내외여건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포퓰리즘이라고 강력히 반대한 무상 복지 논란도 윤 장관이 헤쳐나갈 숙제다.

복지에 대한 전방위 압박 속에서 재정 건전성을 지켜낼지도 관심이다.

미흡한 서비스산업 선진화도 구체적인 성과를 내야 할 부분이다. 의사, 약사, 변호사 등 서비스선진화의 핵심인 전문자격사 시장에 대한 규제완화를 위해 관련부처와 이익집단의 장벽을 허물 수 있을지가 핵심이다.

이집트 사태를 비롯한 유럽 재정위기, 미국의 양적 완화 등 대외 불확실성과 함께 북한 리스크에 따른 시장 안정도 과제다.

윤 장관이 정책에 임하는 자세와 관련해 흔히 쓰는 사자성어는 ‘해현경장(解弦更張)’이다.

그가 올해 풀어진 거문고 줄을 다시 바꾸어 맬 수 있을지 주목된다.

<김형곤 기자 @kimhg0222>
kimh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