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나라 8~10일 개헌의총…친박 반대입장, 계파대립 가능성
한나라당이 8~10일 개헌과 관련한 의원총회를 연속적으로 열어 향후 개헌논의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그러나 개헌에 대한 당내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한동안 잠잠했던 계파갈등이 재연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정가의 분석이다.

안상수 대표와 김무성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와 친이계 개헌론자들은 이번 의총을 통해 당내 개헌 태스크포스(TF)와 국회 개헌특위 구성 요구 등을 관철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친박계와 소장파 의원들은 현 시점의 개헌논의에 비판적이다. 어떤 결과가 나오느냐에 따라 개헌론이 다시 불붙을지, 소멸될지 기로에 섰다.

친이계 의원 모임인 ‘함께 내일로’의 대표를 맡고 있는 안경률 의원은 7일 “개헌논의를 위한 특별기구 구성을 당 지도부에 제안할 예정”이라며 “당내 기구가 만들어지면 지도부가 이를 통해 야권이나 대권주자들과 협상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개헌 가능성에 대해 “(1987년 개헌당시) 민주화가 시대의 소명이라면 선진헌법을 만드는 것은 이 시대의 소명”이라며 “이런 논의에 흔쾌히 동참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개인을 위한 논의가 아니라 시대적 화두"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친박계는 현재 상황에서 개헌이 국민적 관심사가 아니라며 부정적인 입장이다. 친박계 이혜훈 의원은 “1년 전까지만 해도 그렇게 (개헌논의를) 하자고 해도 안하던 논의를 지금 시작하려고 하는지 납득하기 어렵다”며 “관심없는 문제를 굳이 왜 하려 하는지 모르겠다”며 여권 핵심의 개헌논의에 의구심을 나타냈다.

사정이 이렇게 되자 친이계 좌장으로 ‘개헌 전도사’를 자처하며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이재오 특임장관과 친박계 간 ‘구원’이 재연될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비주류를 자처하고 있는 홍준표 최고위원은 “(청와대의) 헌법 개정의 뜻은 공감한다”면서도 “이 시점에서 개헌이 과연 가능한지 걱정스럽다. 야당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데, 일부 계파가 나서서 추진한다고 해서 되겠느냐”고 반문했다.

민주당의 차단막은 더욱 견고해지고 있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민주당 입장은 개헌특위에 참여하지 않겠다, 개헌은 실기했다, 그리고 한나라당은 통일안을 가지고 나와라 정도로 정리됐다”며 “(한나라당 의총에서) 어떠한 결론이 나오더라도 민주당이 개헌특위에 참여하는 것은 부정적으로 보인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낙연 사무총장도 “대통령과 친이계가 하는 개헌논의는 결국 헛바퀴가 돌고 말 것”이라며 “아예 대응하지 않기로 했다"고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 총장은 이어 "한나라당은 빨리 개헌론을 접고 출구전략을 펴야 한다”고 꼬집었다.

<조동석 기자 @superletters>
dsch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