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과학계 “일선 축가, 구제역 차단방역시설 의무화해야”
전국을 위협하고 있는 구제역 사태를 계기로 축산 농가에 차단방역 설치를 의무화하고 바이러스연구소를 설치하는 등 확산 및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과학계로부터 제기됐다.

과학기술계와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는 25일 오전 서울 국회 의원회관에서 공동으로 ‘구제역ㆍAI 대책 마련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부하령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러스감염대응연구단장은 “신ㆍ변종 바이러스가 국자의 재난이 되고 있는데 한국의 바이러스 연구지원 및 투자상황은 선진국과 비교할 때 미흡하기만 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바이러스 기초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세계적 수준의 시설 및 인적 인프라를 갖춘 전문 바이러스연구소 설립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차단방역 시설 설치도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유용 서울대 식품동물생명공학부 교수는 “구제역 피해 보상 시 차단방역 시설 설치를 선결조건으로 해 일선 축산 농가가 샤워장, 울타리 등을 반드시 갖추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수의사나 컨설턴트 등이 질병을 전파하지 않도록 지역별, 농장별로 영업구역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구제역이 전국적으로 기승을 부리는 원인에 대해서도 다양한 분석이 나왔다. 이중복 건국대 수의과대학 교수는 “국내외 이동이 잦은 세계화, 공동 사료나 공동 수정 등을 진행하는 축산 농가의 계열화가 구제역 사태의 주된 이유”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일선 방역 현장에 수의사가 부족하고 축산물을 보유한 채 국경을 통과해선 안 된다는 기본적인 교육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김상수 기자 @sangskim>
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