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민안정 무게…경제체질 약화엔 우려
“물가안정 위 성장률 유지” 김중수 발언 의미는
일각선 “관료성 발언” 쓴소리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 발언의 무게중심이 시간이 갈수록 ‘물가안정’ 쪽으로 기울고 있다.

김 총재는 19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금융연구원 초청 강연에서 “물가안정의 기반 위에 적정 성장률을 유지함으로써 서민과 중산층의 생활안정을 도모하는 데 정책적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까지 김 총재의 발언이나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의 통화정책 방향 결정문을 보면 ‘우리 경제가 견조한 성장을 유지하는 가운데 물가안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운용하겠다’며 항상 물가보다는 성장을 먼저 언급했다. 연초 김 총재의 신년사와 지난 13일 금통위의 통화정책 방향에서는 ‘견조한 성장을 유지하면서 물가안정 기조를 확고히 하겠다’며 ‘확고히’란 말을 집어 넣더니, 이날 강연문에서는 ‘물가안정의 기반 위에 적정 성장률을 유지하겠다’는 말로 한 발 더 나갔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한국금융연구원 주최로 19일 오전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금융경영인 조찬강연회에 참석해 “물가 오름세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며 “서민과 중산층 생활안정에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안훈 기자/rosedale@

김 총재는 또 “글로벌 불안요인에 따른 외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경제 체질 강화에 계속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말 역시 지금까지 경제회복 지원에 주력한 통화정책과는 달리 앞으로는 성장을 다소 늦추더라도 기준금리를 정상화해 정책 대응 여력을 확보하겠다는 뜻으로 읽히는 대목이다. 경쟁력 없는 한계기업 등이 그동안 저금리 상황하에서 버텨왔지만, 국가 경제 전체 체질을 약화시킨 측면도 있다는 점을 우회적으로 지적한 것으로 해석된다.

물가불안을 우려하면서 서민과 중산층의 생활안정을 강조한 것도 이례적이다. 통화정책을 통해 거시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책임이 있는 중앙은행 총재로서 못할 말은 아니지만 대통령이나 기획재정부 장관, 청와대 경제수석에게 딱 어울리는 말이기 때문이다. 올 들어 이명박 대통령을 선두로 정부 관료들이 너도나도 물가안정을 강조하는 시점에, 한은 총재가 이들의 발언을 따라하는 듯한 인상을 준다는 지적도 있다.

신창훈 기자/chuns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