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외교관 서희,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 걸그룹 ‘카라’ 멤버 구하라. 생년월일엔 1000년의 시차가 있지만 한국인의 특질을 발현해 성공을 이끌어낸 인물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당당함과 집요함, 승부근성이다.
서희는 993년, 평북 봉산까지 치고 들어온 거란 적장 소손녕과의 협상에서 절충이 여의치 않자 숙소에 돌아와 호기롭게 드러누워 초반 기세를 잡은 덕에 강동6주를 되돌려받았다. 이건희 회장은 20여년 만에 초일류기업으로 탈바꿈시켰다. 구하라는 ‘구사인볼트(100m 세계기록 보유자인 우사인볼트+구하라)’라는 별칭이 붙을 정도로 국내 모 방송 프로그램에서 기를 쓰고 달리더니 일본 열도에 신(新)한류열풍을 주도하고 있다.
자랑스런 상고, 고대사를 지나 압록강 이남에 갇힌 이후 일제침략까지 계속된 지난(至難)했던 역사의 상처가 아물면서 우리는 서희, 이건희, 구하라식 성공담을 조금씩 풀어놓을 수 있게 됐다. 그 성공담은 세계를 놀라게 할 정도로 가히 파격적이다.
남들 300년 경험한 산업화를 한 지 50만 년에 ‘G20’ 신질서의 주도자가 됐다. 그간 보인 변화는 세계 누구도 따라올 수 없다. 2008년 기준으로 1960년에 비해 국내총생산(GDP)은 31배, 1인당 GDP는 16배로 성장했다. 산업혁명의 선구자인 영국은 1700~1870년 170년간 GDP가 9.4배 커졌고, 일본은 1913~1970년 57년간 14.1배 상승했다. 고성장 기록이라고 하는 일본 미국 영국의 최전성기에 비해도 한국의 성공 속도는 가히 광속에 가깝다.
스포츠에서도 매번 올림픽 30위권 안팎을 맴돌다 1976년 첫 올림픽 금메달이 나온 이후 매년 19~33개의 메달을 획득해 글로벌 톱10에 가볍게 진입했다. 변방이던 여자축구(U-17)는 여민지의 활약 속에 시작한 지 10년 만에 세계 정상급으로 발돋움했다. 일본은 정신력으로 표현되는 한국식 ‘군대축구’를 끝내 넘지 못했다. TV, 휴대폰 등 한국이 세계 1위 제품보유국이라는 기사는 더 이상 뉴스가 아닐 정도다.
일본에선 ‘이젠 한국을 이길 수 없다’는 ‘한국 위협론’이 나오는 지경이다. ‘실패학’의 대가로 꼽히는 하타무라 요타로 교수는 ‘리버스 엔지니어링’이 한국 기업의 약진 배경으로 본다. 그는 “한국 기업의 성공 요인은 일본 선행제품의 기능을 철저히 분석해 시장이 요구하는 최적의 제품을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식민치하의 세월, 6ㆍ25 전쟁 등 한국만의 역사적 시련도 ‘국민정체성’이라는 경쟁력 있는 기질을 한국인에 덧칠했다. 나라의 운명과 개인의 운명을 같은 선상에 놓고 목표를 향해 손잡고 줄달음질 치게 하는 엔진이다. 가난 탈피의 지름길로 배움을 꼽고, 교육열을 불태운 각 가정의 노력도 세계 초일류 국가 진입을 목전으로 끌어당긴 액셀러레이터였다.
홍성원 기자/hongi@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