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사설] 주52시간 족쇄 푸는 반도체특별법 국가경쟁력 높일 토대

여당이 반도체 연구개발(R&D) 인력을 주 52시간 근무 대상에서 제외하고, 반도체 기업에 직접 정부 보조금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반도체 특별법안’을 당론으로 발의하고 이번 회기 국회 통과를 추진하기로 했다. 미국·일본·대만 등 한국과 경쟁하는 주요국들이 일찌감치 도입한 제도를 이제야 시행하려 한다니 만시지탄이다.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뛰던 우리 기업들에 대등하게 경쟁할 토대를 만드는 일인만큼 입법 속도를 높여야 한다.

법안에는 “기업과 노조 등 당사자 간에 합의를 하면 R&D 인력은 주 52시간 근로에 예외를 둔다”는 항목이 포함돼 있다. 법안이 통과된다면 국내 반도체 업계가 최근 정부와 정치권에 도입을 요구한 ‘한국형 화이트칼라 면제 제도(White Collar Exemption)’가 시행될 수 있다. 화이트칼라 면제 제도는 미국이 1938년 도입한 것으로, 고위 관리직과 전문직, 고소득자는 근로 시간 규제 대상에서 제외한다. 일본도 2018년 비슷한 제도를 도입했고, 주 40시간 근무가 원칙인 대만도 노사 합의하에 일일 근무를 8~12시간 늘릴 수 있다.

‘졸면 죽는’ 디지털 기술 혁명기에 주 52시간제를 획일적으로 적용하다간 AI(인공지능)와 반도체 전쟁에서 살아남기 어렵다. 데이터센터의 핵심 부품인 AI 가속기는 미국의 엔비디아가 90%를 독점하고, 첨단 반도체 제조는 글로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1위인 대만 TSMC가 압도적 경쟁력으로 우리와 격차를 벌리고 있다. 범용 반도체는 중국의 추격이 매섭다. 이런 상황에서 엔비디아, TSMC 연구원들이 더 앞서가려 밤을 지새는 동안 우리 연구원들은 토론 끝에 아이디어가 떠오를 만하면 퇴근하는 일이 반복된다면 반도체 전쟁에서 낙오한 인텔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위기감을 가져야 한다. 반도체뿐만 아니라 배터리, 바이오, 소형원전(SMR) 등 핵심 분야의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라도 52시간제의 족쇄를 풀어야 한다.

법안에는 반도체 기업에 대한 직접 보조금 지원 항목도 포함돼 있는데 이 또한 중요한 과제다. 현재 우리는 반도체 기업들에 정책금융(대출)을 지원하고 있고 국가 전략기술 시설 투자에 대기업·중견기업은 15%, 중소기업은 25%의 세액공제를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대기업 특혜 논란 때문에 보조금 지급은 없다. 미국과 일본뿐 아니라 유럽·인도까지 공장 건설 비용의 최대 70%까지 지원하는 파격적인 보조금을 앞세워 반도체 투자를 끌어들이고 있는 것과 대비된다. 여야가 지난달말 ‘민생공통공약 추진협의회’를 출범시킨 만큼 직접 보조금에 미온적인 기획재정부를 설득해 제1호 성과물로 내놓기를 바란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