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尹 “우방국 압도적 힘으로 북러 불법 군사협력 무력화”[종합]
나토 퍼블릭 포럼 연설…한미동맹 등 강조
“무력 통한 현상 변경, 유럽-亞 안보 위협”
내년 ‘우크라 신탁기금’ 2400만달러 2배 증액
윤석열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메리어트 마르퀴스 호텔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퍼블릭포럼 인도·태평양 세션에서 연설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워싱턴DC)=서정은 기자, 강문규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강압을 통한 현상 변경 시도를 차단하는 유일한 방법은 동맹과 우방국들의 압도적인 힘”이라며 단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퍼블릭 포럼 연설에서 “한미동맹과 한미일 협력, 나토 회원국들과의 긴밀한 공조를 통해 러시아와 북한의 불법적인 군사 경제 협력을 무력화하고 차단해 나가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한국 대통령이 나토 퍼블릭 포럼에서 단독 연사로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윤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글로벌 안보 질서의 위기 요인을 진단하고, 나토와 대한민국, IP4 간의 협력 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설명했다. 아울러 2차례의 세계 대전 후 동일한 불행을 반복하지 않겠다는 다짐으로 출범한 나토의 역사를 되짚기도 했다.

윤 대통령은 “냉전이 종식된 지 35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새로운 도전 세력을 마주하고 있다”며 “그들은 보편적 가치와 규범에 기반한 국제질서를 부인한다”고 지적했다. 또 “자국 국민들이 외부 세계에 적대감을 품도록 부추기고 이를 애국적 민족주의로 호도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무력을 통한 현상 변경 시도를 옹호하는 세력들 간의 결탁은, 곧 자유세계가 구축해놓은 평화와 번영에 대한 정면 도전”이라며 “유럽과 아시아의 안보가 동시에 위협받고 있다”고도 진단했다.

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과 재건을 위한 포괄적 지원도 시사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빌뉴스에서 나토와 체결한 개별 맞춤형 파트너십 프로그램(ITPP)을 통해 사이버, 정보심리전, AI 디지털 등이 결부된 복합안보 위협에 함께 대응하겠다고 했다. IP4 파트너국들과의 중점협력사업도 적극 추진한다고 약속했다.

이 자리에는 나토 측이 초청한 학계 전문가, 기업, 전직 외교‧안보 관료 등 약 350명이 참석했다. 퍼블릭포럼은 나토 사무국이 미국·유럽 지역 싱크탱크와 함께 주최하는 공공외교 행사로 주요 현안에 대한 전문가들과 일반 대중의 이해를 제고하기 위해 열렸다.

윤석열 대통령이 1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메리어트 마르퀴스 호텔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퍼블릭포럼 인도·태평양 세션에서 미국 싱크탱크 허드슨연구소의 케네스 와인스타인 석좌와 대담하고 있다. [연합]

윤 대통령은 기조연설 후 질의응답에서도 거듭 “한국은 우크라이나를 계속 도울 것”이라며 “우크라이나에 제공 중인 포괄적 지원 패키지를 계속 확대해 나가고, 그 과정에서 나토 동맹국 및 IP4 회원국들과 긴밀하게 공조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나토 동맹국·파트너국 정상회의 연설에서도 우크라이나 지원 의사를 재확인하며 지난해 공약한 ‘나토 우크라이나 신탁기금’에 올해 1200만달러 기여한 데 이어 내년에는 기여 규모를 2배 증액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이 러시아에 제공하는 미사일과 포탄은 우크라이나 전쟁을 장기화시킬 것”이라며 “또 이에 대한 반대급부로 러시아가 북한에 제공하는 군사기술과 경제지원은 한반도와 동북아 역내 평화를 위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 정부는 불법적인 러북 군사 경제 협력을 차단하고 무력화하기 위해 한미동맹 한미일협력체제 나토와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공조를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러북 협력 양상이 대한민국 안보와 국제평화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동맹국과 우방국끼리 면밀히 분석하면서 상응하는 대응방향을 강구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과의 관계와 관련해선 “우리는 중국과 계속 전략적으로 소통하면서 상호존중과 호혜라는 원칙 입각해서 양국관계를 만들어 가는 등, 역내 평화 안보와 글로벌 공동의 아젠다를 중국과 할 수 있도록 한중관계 잘 관리하려 한다”면서 “한국은 중국과 오랜 기간 동안 상당한 규모의 교역과 통상을 해왔다. 그렇지만 우리와 분명히 체제는 다르다”고 했다.

mkk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