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대학만 들어가면 그만? 문과선택 후 자퇴도”…대입유리 미적분·기하 수학 1등급 절대다수
'이과' 권하는 사회
수능 수학 1등급 97%가 미적분·기하
"점수에 학교 맞추고 전공바꾸는 생각 위험
적성 아니라, 대입 유불리에 따라 미적분 택하는 상황"
문과침공 해소위한 대책마련 시급

[헤럴드경제=권남근 기자]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도 수학 1등급을 받은 최상위권 수험생 대부분이 선택과목으로 '미적분'과 '기하'에 응시한 이른바 '이과' 학생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통합수능이후 이과생들의 문과침공 현상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적성보다 수능 성적에 맞춘 학교 입학 이후, 적성에 맞지않아 자퇴하는 사례도 있어, 제도 개선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정작 낙방한 문과생이나 입학 후 자퇴한 이과생 모두 피해자이기 때문이다.

13일 종로학원이 2024학년도 수능 응시생 3198명의 성적을 분석한 결과 수학 1등급 수험생 가운데 미적분과 기하를 선택한 수험생이 96.5%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확률과 통계 응시자는 3.5%에 그쳤다.

통합수능 1년차였던 2022학년에는 수학 1등급 가운데 미적분·기하 응시자 비율이 86.0%, 지난해에는 81.4%였다. 수학 2등급에서도 미적분·기하 응시자가 71.7%, 3등급에서도 71.4%를 차지했다. 4등급까지 내려가야 비로소 확률과 통계 응시자 비율이 절반을 넘어서는(52.9%) 것으로 종로학원은 분석했다.

국내 한 강사의 올해 수능 수학 문제 풀이 과정. [유튜브 캡처]

이는 확률과 통계는 비교적 평이하게 출제된 반면, 미적분은 까다롭게 출제돼 표준점수 최고점 차이가 11점가량 벌어졌기 때문이다.

표준점수는 응시자 개인의 원점수가 응시집단의 평균과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나타내주는 점수다.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낮아지면 만점자의 표준점수(표준점수 최고점)가 올라가기 때문에 어떤 과목을 선택했는지에 따라 수험생이 받을 수 있는 표준점수가 달라진다.

학원가에서는 올해 선택과목별 표준점수 최고점이 미적분은 148점이지만 확률과 통계는 137점에 머물러 상위권을 미적분 응시생들이 차지한 것으로 분석한다.

교육계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통합수능 도입 당시부터 제기됐던 문제인데 특히 올해 학생 간 성적 편차가 큰 수학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으로 보고 있다.

문제는 입시에서 수학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자연계열에 응시하려던 수험생들이 높은 수학 표준점수를 바탕으로 인문사회계열에 진학하는 '문과침공'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대학가에서는 '문과침공'을 했다가 전공이 적성에 맞지 않아 자퇴하는 학생이 늘어나는 등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며 새로운 입시제도를 구상하는 교육당국은 물론 대학들도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서울지역의 한 사립대학 교육학과 A교수는 "점수에 학교를 맞추고 전공을 바꾸는 것은 상당히 위험한 생각인데 이런 학생들이 늘어난다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서울의 다른 사립대학 입학처장 B교수는 "고교 선생님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학생들이 본인이 원해서 문과·이과를 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대입에 유리하다고 하니 공부 좀 하는 학생들은 미적분을 택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happyda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