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관계 컨설팅 업체 전망

올해 중국 경제 성장률이 국제통화기금(IMF)이 예측한 5.2%의 절반 수준에 그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부동산 붕괴 영향과 외국인 직접 투자 부진 등이 주요 원인이다. 중국 경제에 의존도가 높은 동남아시아 국가들도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 전망이다.

5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미·중 관계 전문 컨설팅업체 로듐그룹은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2%대로 낮아질 수 있다”면서 “부동산 하락 사이클이 1년 더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중앙정부는 빚더미의 지방정부를 구제해야 하고 해외 수출 제약도 커지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다니엘 로젠 로듐그룹 대표는 “2~2.5% 이상의 성장을 설명할 수 있는 어떤 것도 찾을 수 없다”며 IMF는 중국 정부가 제공하는 경제데이터를 바탕으로 성장률 전망을 내놓기 때문에 실제 상황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SCMP는 중국의 경제 부진은 수십 년 동안 국가 성장을 주도했지만 동시에 과도한 빚을 진 부동산 개발업체의 손실과 파산에서 비롯된다고 분석했다.

지난달 무디스는 중국 정부가 모기지 금리 인하와 계약금 인하 등 다양한 부동산 거래 부양책을 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부동산업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수정했다.

아울러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1~7월 대중국 외국인 직접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9.8% 감소한 1118억달러(약 151조6008억원)를 기록했다.

중국 자동차 수출의 새 역군으로 부상한 전기차(EV)도 난관이 예상된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중국산 전기차 보조금 관련 조사를 공식 시작하기로 했다. EU는 성명을 통해 “중국 정부의 보조금이 이미 취약한 EU 산업에 즉각적인 피해 위협을 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경제 위기는 동남아시아 국가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ASEAN) 회원국들은 대부분 수출과 제조업을 중국의 원자재와 투자에 의존하는 구조인데 최근 중국의 제조업 투자가 정체되고 있다. 여기에 부동산 침체로 중국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이면서 관광산업도 크게 타격을 입고 있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아세안+3 거시경제연구소의 호에코 수석 연구원은 “중국 경제의 가장 큰 장애물인 부동산 위기가 더욱 심화됐다”며 “2분기에 중국의 성장이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올해 아세안+3 지역은 7월 전망치 4.6%보다 낮은 4.3%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