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크림 이어 돈바스까지?…우크라이나 러시아계 주민 강성화
우크라이나 정부군 VS 루간스크·도네츠크 8년째 교전
지난 2020년 6월 27일 우크라이나 도네츠크 지역에서 인근 러시아 로스토프로 가는 버스에 오른 우크라이나인들이 러시아 여권을 들어보이고 있다. [AP]

[헤럴드경제=한지숙 기자] 우크라이나 위기가 유럽 안보 뿐 아니라 세계 금융·경제를 흔들면서 우크라이나 남동부 ‘돈바스’에 전세계 이목이 쏠리고 있다.

돈바스는 자칭 ‘루간스크인민공화국’(LPR)과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 등 친러 분리주의 세력이 득세하는 루간스크주와 도네츠크주를 아우르는 지역명이다.

돈바스는 러시아와 국경이 닿아있고, 그 밑에는 2014년에 러시아령이 된 크림반도가 있다.

돈바스 지역 인구의 절반 가까이 되는 러시아계 주민들은 옛 소련 해체 때 우크라이나 독립에 찬성했는데, 오렌지 혁명을 거쳐 친러 정부가 무너지고, 수도 키예프에 친 서방 정부가 들어서자 불안이 커졌다.

돈바스 내전은 러시아계 주민들이 우크라이나 크림반도와 동부 돈바스 지역에서 분리·독립을 주장하면서 시작됐다.

2014년 크림반도가 러시아의 강제병합으로 넘어간 뒤 루간스크와 도네츠크주의 친러 분리주의 세력은 더욱 득세했다. 러시아계 주민들은 분리 독립을 주장하면서 자체 주민투표를 거쳐 인민공화국을 선포했다.

분쟁이 심화하자 2014년 9월 우크라이나, 러시아, LPR, DPR이 벨라루스의 수도 민스크에서 정전 협정을 맺었다. 이른바 민스크 협정이다. 그러나 협정은 지켜지지 않았고 충돌이 계속됐다.

결국 이듬해인 2015년 당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페트로 포로셴코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LPR, DPR의 대표가 유럽안보협력기구(OSCE)의 중재로 다시 민스크에서 모여 16시간 합의한 끝에 '민스크 2차 협정'에 서명했다.

협정에 따라 OSCE가 전선을 감시하고, 정전협정 위반을 보고하면서 대규모 총성은 멎었다. 그러나 산발적인 교전까지는 막을 수 없었다. 이 전쟁으로 1만4000명이 사망했고 150만 명은 고향을 떠나 피난길에 올랐다.

LPR, DPR은 국제사회로부터 인정받지 못하는 미인정 국가다.

러시아 하원은 지난 15일 푸틴 대통령에게 LPR과 DPR을 독립국으로 인정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차르' 푸틴이 다스리는 러시아에서 하원이 이 결의안을 채택한 건 돈바스 지역을 손에 넣기 위해 이미 다 짜놓은 시나리오라는 해석도 있다.

월스트리스저널(WSJ)은 최근 보도에서 2곳을 독립국으로 인정하는 법안이 발효되면 '민스크2' 협정 논의를 살리는 외교 노력은 끝나게 된다고 분석했다.

지난 17일 우크라이정부군으로부터 공격 받았다고 주장한 LPR, DPR 측 입장을 전달한 러시아 언론은 우크라이나가 민스크 정전 협정을 위반했다며 우크라이나를 탓했다.

푸틴 대통령은 두 곳에 있는 러시아인 보호를 명분으로 군사를 일으켜 우크라이나 정부군을 몰아내고, 두 곳의 독립국 지위를 인정한 다음 러시아의 위성국으로 둘 수 있다. 러시아 동맹국 방어 목적으로 러의 무기와 군대를 상주시킬 수도 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돈바스에서 러시아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을 차별하고 있으며 대규모 인권침해를 자행하고 있다고 비난해왔다. 이미 이 지역 주민 수십만명은 러시아 여권을 보유하고 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러시아가 사실상 이들 국가를 지배하고 있다며, 러시아가 반군에 병력과 무기를 지원하고 있다는 게 정설이라고 보도했다.

러시아는 이들 반군 지역을 통째로 자국에 합병하기보다 우크라이나의 친러 세력으로 남겨 우크라이나의 정책 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편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가디언은 설명했다.

js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