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에 부수업무 신고

일반인에까지 헬스케어 확대

비대면 종합관리 서비스 제공

삼성생명이 헬스케어 플랫폼 사업을 본격화하고 나섰다. 만보기 수준을 넘어선 헬스케어 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미래 먹거리를 창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삼성생명은 이달 초 금융감독원에 ‘보험계약자 및 일반인 대상 건강관리서비스 운영을 위한 통신판매중개업, 소프트웨어 운영, 헬스케어 플랫폼을 통한 사회 공헌’의 부수업무를 하겠다고 신고했다. 서비스는 3월 18일 개시할 것으로 예정돼 있다.

전영묵 삼성생명 사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건강자산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한 바 있다. 헬스케어 플랫폼은 이 일환으로 계획된 것이다.

삼성생명은 플랫폼 개발을 위해 지난해 9월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기업인 라이프 시맨틱스와 계약을 체결했다. 운동, 식이, 정신건강을 비대면으로 종합관리할 수 있는 건강관리서비스를 개발하겠다는 목표다.

운동 관리 서비스는 모션인식 기능을 도입해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파악하고 인공지능의 실시간 피드백을 제공하며, 식이 관리 서비스에서는 개인 맞춤 코칭 기능으로 앱 내에 식단 사진을 등록하면 열량 및 영양소 적정·부족·과다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계획이다. 정신건강 관리 서비스는 설문을 통한 자가 진단과 병원·진료과 추천 등이 제공된다.

삼성생명은 그간 ‘S-헬스케어’, ‘S-워킹’ 등의 헬스케어 앱을 출시한 바 있지만, 특정 보험상품 가입자만 한정적으로 이용가능했다. 보험 계약자가 아닌 일반인에게는 개방돼 있지 않았다. 이제는 일반인까지 아우르는 헬스케어 사업을 더 미룰 수 없다는 진단이다. 전통 보험사업이 저출산·고령화로 성장 한계에 부딪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국내외 보험사들은 이미 헬스케어 사업에 적극 뛰어들고 있다.

정부의 기조도 우호적으로 바뀌고 있다. 2020년 말 보험사가 보험 계약자 외에 일반인들에게도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허용됐고, 지난해 7월에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삼성생명 등 6개 보험사에 대해 공공 의료 데이터 이용을 최종 승인했다. 다만 규제장벽이 여전히 높은 점은 서비스 고도화를 가로막는 장벽으로 지적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난해 9월 삼성생명 등 5개 보험사가 건강보험자료 제공을 요청하자 불승인 결정을 내렸다. 보험업계는 이 자료로 헬스케어 서비스 혁신을 기대했지만 개인정보보호라는 가치에 가로막혔다. 원격 의료 규제나 보험사의 의료 서비스 제공 규제 등도 걸림돌이다. 기존에 출시된 보험사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해 만보기 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김성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