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025년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완성…‘K-암’ 빅데이터 구축
심박수 등 기록 개인생성건강데이터(PGHD) 표준화
희귀질환·암 등 100만명 통합바이오 빅데이터 추진

[헤럴드경제=김대우 기자] 정부는 2025년까지 유전체 등 바이오, 병원 임상기록, 공공보건의료데이터 중심으로 3대 원천 데이터 플랫폼을 완성하기로 했다. 또 위암 등 한국인에게 자주 발생하는 암 임상 정보를 빅데이터로 만드는 ‘K-Cancer(캔서·암)’ 사업을 추진한다. 이 사업을 순조롭게 마무리하면 ‘K-심뇌혈관’과 ‘K-호흡기(신종감염병 포함)’ 등 또 다른 빅데이터도 구축키로 했다.

[헤럴드DB]

보건복지부는 3일 오전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126차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보건의료 데이터·인공지능 혁신전략’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혁신전략 세부 내용을 보면 위암 등 한국인 10대 암과 병원·기업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공유·결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보건의료 데이터 품질을 관리하는 ‘인증제 도입’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건강보험 등 공공데이터 개방 건수를 연간 1000건에서 5000건으로 확대하고, K-캔서 등 한국인 특화 빅데이터를 단계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개인생성건강데이터(PGHD) 표준화 방안도 마련 중이다. PGHD는 웨어러블 기기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을 통해 개인이 작성하거나 기록, 수집한 증상, 생체 인식 데이터 등을 말한다. 예컨대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심박수와 수면습관 등을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기록으로 남기는데, 이런 정보가 쌓이면 빅데이터가 되고 향후 의학적, 산업적으로 큰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복지부는 오는 2025년까지 유전체 등 바이오, 병원 임상기록, 공공보건의료데이터 중심으로 3대 원천 데이터 플랫폼도 완성할 계획이다. 우선 100만명 규모 통합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한다. 이 정보는 희귀질환 10만명, 암 10만명, 난치질환 20만명, 만성질환자 및 건강인 60만명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이 빅데이터는 2023년까지 맞춤형 치료와 정밀의료에 사용하기 위한 국가 전략자산으로 만들어진다.

폐쇄적·독점적으로 활용돼 민간기업이나 연구기관이 접근하기 어렵다는 평가를 받아온 병원 임상데이터는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이 기업과 학계, 연구기관, 병원과 함께 공동연구를 추진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복지부는 데이터 중개·분양을 활성화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이를 위해 컨설팅 지원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공공기관, 의료데이터중심병원을 포함한 빅데이터 보유기관이 안전한 데이터 제공하는 역량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으면 ‘안심분양센터’로 지정한다. 보건의료 빅데이터는 의료기술과 바이오헬스 혁신을 이끌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낮은 데이터 표준화, 품질 관리, 개인정보 침해 등이 해결할 과제로 남아있다.

권덕철 복지부 장관은 “보건의료 빅데이터가 민감한 정보를 담고 있어 개인 권리를 보호하는 법률적 문제를 정비하고 있다”며 “중장기 관점에서 수립한 혁신전략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dewk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