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건강의학팀] 영어로 ‘위즈덤투스(wisdom tooth)’인 ‘사랑니’는 치아 중에서 가장 마지막에 나오는 어금니로, 주로 17~25세에 맹출된다. 사랑니를 모두 가지고 있으면 위아래턱 양쪽에 한 개씩 모두 4개가 존재할 수 있는데 모두 가진 사람이 있는가 하면, 하나도 없는 사람도 간혹 있다.
사랑니의 정확한 명칭은 ‘제3대 구치’다. 대부분 사람이 사랑니의 존재를 알지 못하다가 치과 검진을 통해 아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사랑니가 똑바로 나면 치아 본래의 기능을 하는 데에 아무 문제가 없지만 구강구조상 치열의 맨 끝에 있다 보니 관리가 어려워 충치나 잇몸질환, 입냄새 등을 유발해서다. 특히 사랑니는 다른 치아가 다 자리 잡은 후 뒤늦게 맹출되기 때문에 똑바로 자라지 못하고 옆으로 누워 나거나 잇몸 아래 매복돼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 잇몸이 붓는 잇몸질환을 유발하거나 턱뼈 안에 낭종을 만들기도 한다.
이처럼 사랑니는 특별한 기능적 역할이 없으면서 이를 방치했을 때 주변 치아로 충치 전염과 턱관절 장애, 안면 비대칭 등 크고 작은 문제를 야기하기에, 원칙적으로 발치를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사랑니 발치 시 치근의 개수와 길이, 하악 신경관과의 거리, 턱뼈의 상태 등 수술 시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고, 다른 치아와 다르게 신경과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경우가 많아 입체 진단장비인 3D CT를 이용한 정확한 검진 후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발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더불어 매복 사랑니나 누운 사랑니는 발치 과정이 까다롭기 때문에 발치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임상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황성익 세종시 앨리스치과의원 원장(통합치의학 전문의)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매복 사랑니 발치로 인한 통증, 감염,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커지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치료 시기를 놓칠 경우 근접 치아 주변으로 충치가 전이되거나 잇몸염증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어 되도록 정기적인 치과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
이어 “사랑니는 잘 뽑는 것도 중요하지만 발치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며 “지혈을 위해 침을 뱉거나 빨대를 사용하는 행위는 삼가고 발치 당일 식사는 적당히 미지근한 온도의 유동식을 먹는 것이 좋고, 아울러 치료 후 약 2일까지는 되도록 격한 운동은 삼가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