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청년 고용·소득 양극화 심화…4차산업혁명으로 더 확대”
이승윤 중앙대 교수, 저출산고령사회委 정책포럼

[헤럴드경제=김대우 기자] 국내 청년층에서 앞으로 고용과 소득 등이 안정적인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 격차가 벌어지는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는 전문가 분석이 나왔다.

22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발표한 '제3차 연령통합·세대연대 정책포럼' 자료에 따르면, 이승윤 중앙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이 같은 내용의 청년 노동시장 불안전성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교수는 19∼34세 가운데 고용과 소득, 사회보험 등이 '매우 불안정'한 집단은 지난 2002년 19.2% 정도였으나 2018년 31.4%로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19∼34세 중 고용과 소득 등이 '안정'적인 집단의 비율도 2002년 27.6%에서 2018년 41.7%로 상승했다.

반면 중간층인 '불안정'·'약간 불안정' 집단은 2002년 각각 23.9%와 29.3%였지만 2018년에는 8.1%, 18.7%로 급감했다.

이에 비해 35세∼64세의 경우 불안정한 집단의 비율이 2002년 17.7%에서 2018년 16.8%로 다소 낮아졌고 안정적인 집단의 비율은 29.8%에서 38.0%로 높아졌다.

이 교수는 이에 대해 "심각한 양극화가 이뤄져 청년세대가 '공정론'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나타낸다"면서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미래에는 (이런 불균형이) 더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청년정책은 청년의 삶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고, 비경제활동 인구의 구직이나 돌봄노동 같은 활동을 인정하는 방식을 논의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포럼의 또 다른 발제자인 김윤영 경기연구원 연구위원 역시 청년세대의 노동시장 불안정성이 노후 소득 불안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사회보장제도 구조개혁을 적극적으로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연구위원은 또한 "노인층에서도 고용과 소득, 사회보장이 모두 불안정한 집단이 2014년 21.7%로 2008년에 비해 거의 개선되지 않았다"고 짚었다.

dewk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