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저출산문제 인문학에서 해법을 찾다…인문·사회학자들 ‘머리 맞대’
‘저출산 문제 어떻게 봐야 하나’…인문학적 통찰 토론회

[헤럴드경제=김대우 기자]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른 저출산의 근본적 원인을 분석하고 향후 정책 대응을 고민하기 위해 인문·사회학자들이 머리를 맞댔다.

결혼연령이 늦어지고 저출산이 심화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헤럴드DB]

보건복지부는 지난 5월 출범한 '저출산·고령화 대응을 위한 인문·사회 포럼'이 9일 오후 서울 용산 드래곤시티에서 '제1차 저출산의 인문학적 통찰 콜로키움(토론회)'을 열었다고 밝혔다.

올해 12월로 예정된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수립을 앞두고 점점 낮아지는 출산율 문제의 근본적 원인을 파악한 뒤 향후 방향을 논의하고자 마련한 학술 토론회이다.

'인구에 대한 사회 문명사적 관점, 미래 사회의 삶의 양식'을 주제로 한 첫 토론회에서 박경숙 서울대 교수는 한국 사회의 인구 변천과 근대화 과정에서 저출산 문제의 근본 원인을 찾았다.

박 교수는 "발전과 근대 가족 이념이 근대화 과정에서 압축적으로 전개되는 가운데 생명이 발전, 힘, 생산, 성공을 중심으로 선택되고 불평등해졌다"며 "저출산은 이런 체제에서 이탈하는 현상"이라고 분석했다.

박 교수는 "불공정, 불신, 혐오를 촉발하는 불평등 기제를 개선하고 개인의 잠재력이 사장되지 않는 교육·노동·복지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저출산의 해법"이라고 말했다.

이어 발표에 나선 김기봉 경기대 교수는 "국가는 저출산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접근하지만, 출산을 담당해야 할 주체인 젊은 세대는 오히려 출산이 삶의 문제를 야기하는 것으로 인식한다"고 지적했다.

이원재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는 새롭게 다가오는 미래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새롭게 부상하는 삶의 방식 및 교육·노동·복지·경제를 아우르는 재구조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번 토론회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오프라인 참석을 최소화한 채 온라인 방송 등(www.colloquium2020info.com)을 통해 비대면 방식으로 이뤄졌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영상 개회사에서 "이번 논의 결과를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에 반영해 우리 사회와 인식에 대한 깊은 통찰이 저출산 대책을 수립하는 데 기본 바탕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dewk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