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ESS사고 결국 ‘배터리’ 주범 지목…업계 강력 반박
5건 사고 중 4건 ‘배터리가 발화 원인’ 결론
동일 배터리에만 집중…설치·운영 환경은 등한시
“배터리 문제라면 다른 ESS는 왜 불 안나나” 항변
에너지저장장치(ESS) 2차 사고 조사단이 6일 조사 결과 발표를 통해 배터리를 화재원인으로 지목했다. 지난해 8월 충남 예산에서 발생한 ESS 화재 사고 모습. [예산소방서 제공]

[헤럴드경제 유재훈 기자] 에너지저장장치(ESS) 2차 화재사고 조사단이 석달 넘는 조사과정을 거쳐 결국 사고의 원인을 '배터리 문제'로 결론지으며 조사를 마무리했다.

하지만 화재 사고를 촉발한 원인이 배터리에 있는 것으로 지나치게 쏠려있는 분석 결과를 내놓은 것에 업계는 반발하고 있다.

조사단은 6일 세종시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조사 결과 브리핑을 통해 지난해 8월 이후 발생한 5건의 ESS 화재사고에 대한 원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단은 이날 결과 발표를 통해 2차 조사 대상이 된 5건의 ESS 사이트 화재 사고 가운데 4건을 배터리 문제라고 봤다. 이는 지난해 6월 1차 조사단이 배터리시스템 결함과 전기적 충격 요인에 대한 보호체계 미흡, 운용환경관리 미흡 및 설치 부주의, ESS 통합관리체계 부재 등 종합적인 요인을 화재 원인으로 추정한 것과 큰 차이를 보인다.

배터리 생산업체들이 2차 조사단의 발표에 반발하는 가장 큰 이유는 사고가 난 현상에만 매몰돼 발화가 시작된 배터리에 이상이 있다는 식으로 결론을 지었다는 점에 있다.

실제로 이날 조사단이 최종 발표를 보면 5건의 화재사고 중 4건의 사고 원인 설명에서 ‘배터리가 발화원인’이라고 못박고 있다.

조사 과정을 보더라도 조사단은 “화재로 인해 배터리 불타 직접적인 원인을 규명할 수 없는 경우, 사고 사업장과 동일시기 동일모델 등으로 설치된 유사 사업장을 분석했다”고 설명했는데, 이 과정에서 배터리가 탑재된 ESS 사이트의 설치 및 운영 환경에 대한 언급은 찾아볼 수 없다.

미세한 환경적 변화만으로도 사고요인이 발생할 수 있는 배터리의 특성을 감안하지 않은 조사과정이라는 게 배터리 업체의 항변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조사단이 화재가 발생한 사이트가 아니라 같은 시기에 제조돼 다른 현장에 설치된 배터리를 분석해 결론을 냈는데, 조사단의 조사 결과 배터리에 문제가 있는 것이라면 다른 사이트에서도 화재가 발생했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ESS사이트를 구성하는 요소 중 에너지를 가진 것은 배터리가 유일하지만, 이는 불에 타는 가연물로서 화재를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 뿐이지 점화원이라고 단정하기는 힘들다”라며 “휘발유도 불똥이 튀어야 불이 붙는 것이지 휘발유 자체에서 불이 나지는 않지 않나”라고 말했다.

조사단이 ESS화재의 원인으로 배터리를 지목한 이유 중 ‘배터리 내부발화 시 나타나는 용융흔적’을 지목한 점에도 업체들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업체 측은 “용융은 고체가 열을 받아 액체로 녹는 현상”이라며 “배터리 외 다른 부분에서 화재가 발생해도 화재가 배터리로 전이됨으로써 배터리 내 용융흔적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용융흔적을 근거로 배터리 내부발화라고 단정하는 것은 무리”라고 밝혔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