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한국 초고속 고령화, 재정건전성 관리 비상”
한경연, ‘재정운용 진단과 과제’ 보고서
현행 복지제도 확대없이 유지만 해도
40년후 복지지출 GDP 대비 27.8%
2023년 정부 채무 1000조원 예상
그래픽디자인=이은경/pony713@heraldcorp.com

급속한 인구 고령화로 복지지출이 급증할 전망인 가운데, 한국의 경제규모에서 차지하는 복지지출 비중이 작지 않은 수준이어서 재정건전선을 신중히 관리해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26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옥동석 인천대 교수에게 의뢰한 ‘한국의 재정운용 진단과 과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GDP(국내총생산) 대비 복지지출은 지난해 11.1%로 OECD 평균인 20.1%의 절반이지만, 노년부양비를 고려하면 낮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부양비는 생산연령인구(15~64세) 100명당 65세 인구를 나타내는 지표로, 한국은 지난해 19.8%였다. 그리스는 1980년 노년부양비가 지난해 한국과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당시 GDP 대비 복지지출은 9.9%로 한국보다 낮았다. 그리스는 지난해 복지지출이 23.5%를 기록하면서 28년만에 2.4배로 늘어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향후 복지제도가 확대되지 않는다고 가정해도 세계에서 고령화속도가 가장 빨라, 40년 후인 2060년에는 GDP 대비 복지지출이 27.8%로 2.5배 치솟을 것으로 관측됐다. 이는 재정위기를 경험한 그리스나 포르투갈보다 높은 수준이다.

옥 교수는 “복지정책을 펼 때 미래전망을 고려해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고령화로 향후 복지지출이 급증해 재정의 지속가능성이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우리나라의 GDP 대비 재정규모는 지난해 33.5%로 OECD 평균 42.7%보다 낮지만, 복지지출을 뺀 ‘GDP 대비 비(非)복지 재정규모’는 22.4%로 OECD 평균 21.5%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비 복지 재정규모는 이탈리아(20.7%), 영국(20.2%), 미국(19.1%)보다 컸다. 보고서는 우리나라는 인구구조가 젊어 복지지출이 적기 때문에 당장은 재정규모가 작아 보이지만 향후 고령화에 따른 복지지출 급증으로 재정규모가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OECD 국가 중 비기축통화국(16개국)의 GDP 대비 정부채무 비율은 평균 53.7%로, 기축통화국(20개국) 평균인 95.6%의 절반 수준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달러화, 유로화, 엔화 등을 사용하는 기축통화국은 발권력이 뒷받침되기 때문에 재정여력이 상대적으로 크지만, 비기축통화국은 발권력에 한계가 있어 재정건전성 확보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일자리전략실장은 “당장 내년부터 매년 30조~50조원의 재정적자가 나고 적자국채 발행이 늘어 정부채무가 2023년 1000조원을 넘을 전망”이라며 “우리나라는 기축통화국이 아니고 초고속 인구고령화로 향후 복지지출이 급증하기 때문에 재정적자와 정부채무를 지금부터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세진 기자/jin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