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원전 안전 새 기준 정립 없인 미래 없다”
박원석 원자력연구원장 강연

박원석 한국원자력연구원장은 28일 쉐라톤 서울 팔래스 강남호텔에서 ‘원자력 과학기술의 미래’라는 주제로 특별강연을 했다. [한국원자력산업회의 제공]

[헤럴드경제=이정아 기자] “원자력 안전에 대한 기준을 새롭게 정립하지 않는 한 원자력 산업의 미래는 없습니다.”

박원석 한국원자력연구원장은 28일 쉐라톤 서울 팔래스 강남호텔에서 열린 제200회 한국원자력산업회 원자력계 조찬강연에 참석해 ‘원자력 과학기술의 미래’를 주제로 한 특별강연에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라돈침대’ 사태 이후 원자력 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사회적 기준이 굉장히 높아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대형 원전에서 안전 문제가 불거지고 있고, 원전 공기업 퇴직자가 늘고 있다. 원자력연 연구원도 3년내 100여명이 퇴직하게 된다”라며 “해외로 빠지는 인력도 많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원장은 “변화하는 시대에 맞게 원전 기술도 연구개발(R&D) 패러다임을 바꾸지 않으면 원자력 산업의 미래가 더이상 밝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원자력 연구기관에서 종합 연구기관으로 완전히 탈바꿈한 미국의 아르곤 연구소를 예로 들었다. 1946년도에 설립된 아르곤 연구소는 미국 에너지부 산하의 대표적인 국립 연구기관이다.

박 원장은 “핵물리학 연구소였던 아르곤 연구소는 현재 기초부터 첨단 기술까지 전방위적으로 연구하고 있다”며 “아르곤 연구소는 국가 정책에 따라 부침이 있었지만 위기의 순간에 발빠르게 변신했기 때문에 살아남을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사회적 요구에 맞게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 중심축을 이동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사용후핵연료에서 발생하는 핵 안보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연구개발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그동안 핵연료를 직접처분하는 재처리 방안이 고착화 됐다”며 “다른 기술적인 해결 방안을 찾지 않으면 국민들이 원자력 산업을 외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현재 핵물질 추적 관리, 실시간 감시 등 여러가지 기준으로 사용후핵연료 처분 기술을 개발하는 ‘녹색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원자력계에서 이에 대한 합의를 확보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그는 “정부의 수소경제 정책이 추진되려면 수소 단가가 어느 정도 내려가야 한다”라며 “그런데 값싼 수소를 공급할 수 있는 건 원자력이라고 생각한다. 원자력 산업계가 이에 대한 복안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박 원장은 대형 원전 개발이 아닌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소형 원전(SMART) 개발에 중심을 두고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도 설명했다. 그는 “소형 원전을 중동, 동남아 등에 수출하는 중장기 개발 전략을 짜고 있다”라며 “소형 원전의 용량을 올리거나 단가를 낮추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원자력연이 개발하고 있는 소형 원전은 대형 상용원전의 10분의 1 규모인 100메가와트(MWe)다.

이와 함께 박 원장은 “60년간 이어진 지난 원자력 연구 수준에 머물면 안 된다”라면서 “그동안 쌓아둔 원전 관련 빅데이터를 활용해 사고를 미리 예측해 예방할 수 있어야 하고 궁극적으로는 원자력 시스템 무인 운전 기술 개발까지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박 원장은 “주변에서는 정부가 에너지 전환 정책을 추진하는 시점에서 원장으로 취임해 어렵겠다고 제게 말하는데,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라며 “에너지 전환 정책의 기본 취지는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며 안전한 에너지를 국가의 주력 에너지로 하자는 것이다. 이에 매우 동감한다”라고 말했다.

dsu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