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협회마저 쪼개져 핀테크 미래 암울자산별 규제 차등화 위험관리 필요
P2P금융은 돈이 필요한 기업이나 개인이 P2P업체에 대출을 신청하면 업체가 불특정 다수에게 돈을 모아 빌려주는 서비스다. 은행에서 돈을 빌리기 어려운 중·저신용 소상공인 등에게 환영받았다. 저금리 시대에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투자자들에게 10% 안팎의 이자수익(금리)를 보장해 주는 것도 매력적이었다.

그러나 외국의 P2P대출이 빅데이터 등에 기반해 정교한 신탁평가 모델을 개발, 대출을 중계하는 것과 달리, 한국에서는 부동산PF, 부동산 담보 대출로 쏠림이 심화했다. 


국회 입법조사처가 P2P 협회 회원사의 대출 유형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부동산 건축자금(PF) 관련 대출이 6000억원으로 전체 금액의 34%를 웃돌았고, 부동산 담보대출이 4728억원(26%)으로 그 뒤를 이었다. 개인 신용 대출은 3558억원으로 20%에 불과했다. 부동산PF 대출은 경기가 나빠지면 연체율이 급등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쉽게 돈을 벌 요량으로 이 대출에만 열을 올린 업체가 부지기수다.

핀테크 산업으로 분류되는 근간인 빅데이터 신용분석 모델을 개발할 능력도 없으면서 당장 쉽게 돈을 벌 수 있다는 생각에 P2P업체의 탈을 쓰고 시장에 뛰어든 이들도 적지 않다.

금감원이 P2P업체 실태를 조사한 결과 PF대출의 부실률(90일 이상 연체 발생 확률)은 12.3%에 달했다. 개인 신용대출 부실률이 4.8%, 법인 신용대출 부실률이 2.7%인 것과 비교하면 압도적으로 높았다. 금감원은 “부동산 경기가 악화하면 대규모 투자자 피해도 발생할 수 있다”며 경고의 목소리를 냈다.

이에 P2P업계 선두주자급인 렌딧, 8퍼센트, 팝펀딩이 기존 P2P협회를 탈퇴하고 새로운 협회 창립 준비위원회를 발족했다. 새로운 협회는 개인과 기업 신용 대출을 주로 하는 업체들로 구성될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P2P협회 준비위원장을 맡은 김성준 렌딧 대표는 “P2P금융이 전체 개인 신용대출 시장에서 4~5%를 차지하고 있는 미국이나 영국 등의 사례를 보면 시장의 절반 이상이 개인신용대출로 구성돼 있고 부동산과 PF 대출은 시장의 5% 미만으로 미미하다”며 “자산의 위험별로 규제를 차등화하고 있는 것처럼 국내 P2P금융 역시 자산별로 차등화해 위험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어 “이러한 변화를 통해 기술 기반의 P2P금융이 애초 기대처럼 가계부채를 질적으로 개선시키는 하나의 금융 축으로 자리잡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김지원 기자/jin1@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