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편의점 현금결제 비중 ‘뚝’…편의점주는 운다
-편의점 3사 카드 매출 비중 무서운 급증세
-카드수수료 부담에 편의점주인 허리 ‘휘청’
-업계 “제도적 개선 없으면 결국 다 죽을판”

[헤럴드경제=박로명 기자] 우리 사회가 ‘현금없는 사회’로 진입하면서 편의점 업계의 고심이 커지고 있다. 현금결제가 점점 위축되는 것이 거스를 수 없는 대세이긴 하지만, 1만원 이하의 소액 구매가 대부분인 편의점은 현금이 가장 많이 유통되는 유통채널 중 하나라는 게 문제다. 최근 카드 사용 보편화로 현금 결제 비중이 현격히 낮아지면서 개별 편의점주가 부담해야하는 카드 수수료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편의점의 카드 결제 비중이 높아지면서 편의점주가 지급해야 하는 카드 수수료 부담도 커지고 있다. 이에 그 부담을 덜어주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서을시내 한 편의점 전경. [사진=연합뉴스]

14일 BGF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씨유(CU)가 최근 5년간 소비자들의 상품 결제 비중을 분석한 결과, 카드결제 비중은 매년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전 10%대에 불과했던 CU의 카드 결제 비중은 2013년 36.6%, 2014년 42%, 2015년 48.8%에서 2016년 55.1%로 높아지며 처음으로 현금 결제 비중을 앞질렀다. 지난해(3분기 기준)에는 64%를 기록했다. GS25와 세븐일레븐의 카드 매출 구성비도 2016년 각각 57.7%, 53%에서 지난해 62.5%, 59%까지 뛰었다.

이처럼 카드 결제 비중이 높아지면서 편의점이 매년 카드사에 지급하는 수수료는 수조원으로 늘어났다. 편의점 업계는 대다수의 편의점주가 소상공인임에도 지나치게 높은 카드 수수료를 내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에 카드 수수료율 책정 기준을 손봐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연매출 5억원 이하까지는 영세ㆍ중소가맹점으로 분류돼 상대적으로 낮은 우대 수수료율(0.8~1.3%)을 적용 받는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8월 공약에 따라 우대 수수료율을 적용 받는 우대가맹점 범위를 기존 연매출 3억원 이하에서 5억원 이하로 확대한 바 있다. 그러나 여전히 연매출이 5억원을 넘어가면 최대 2.5%의 수수료율이 매겨진다.

연매출만 기준으로 하다보니 ‘고매출 저마진’ 구조의 편의점은 아무런 혜택도 받지 못한다. 편의점산업협회에 따르면 회원사 가맹점당 평균 연 매출은 약 6억5000만원으로, 연 매출 6억원을 초과해 우대 수수료율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다. 편의점 업계는 담배에 포함된 세금까지 편의점 매출로 잡히는 바람에 매출이 뻥튀기 된다고 지적한다.

편의점 전체 매출액에서 담배가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45%다. 담배가 많이 팔리는 만큼 편의점 매출은 늘어나지만 담뱃값의 73.8%가 세금(부가가치세 포함)이기 때문에 실제로 편의점에 돌아오는 마진은 9.3%에 불과하다. 카드 수수료 2.53%까지 내고 나면 남는 것이 없다는 게 편의점협의회 측 주장이다.

편의점 업계는 현행 1.3%의 카드 우대 수수료를 받는 연 매출 상한액 기준을 7억원으로 올리거나 담배 매출에서 세금이 차지하는 금액만큼을 차감해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주장한다.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편의점이 정부의 담배 세금을 대신 걷어주고 있는 만큼 담배 매출을 카드수수료 기준에서 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도 소상공인 수수료 부담 완화를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다. 금융위원회는 오는 7월 카드 수수료 원가 중 한 부분을 차지하는 밴(VAN) 수수료 산정 방식을 정액제에서 정률제로 바꾸기로 했다. 이에 따라 소액결제업종 약 10만개 가맹점에서 연평균 0.3%포인트의 카드 수수료 인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

dod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