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기후대기정책과 관계자에 따르면 실제로 미세먼지 농도는 1월에도 50㎍/㎥까지 오른다. 우리나라 미세먼지 농도 허용 기준치와 같은 수준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해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높은 달은 4월이었다. 67㎍/㎥로 최저치를 기록한 7월(30㎍/㎥)에 비해 두 배 이상이다.
실제로 서울 시민들은 이 시기 대부분을 뿌연 하늘과 마스크로 중무장한 채 춘봄을 보내야 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일평균 미세먼지 환경 기준(50㎍/㎥)을 초과한 일수는 한 달 중 24일에 달했다.
미세먼지로 뿌연 겨울철. 시민들은 점점 숨쉬기가 불편하다고 호소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지난해 전국 평균 미세먼지 양은 48㎍/㎥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 기준(20㎍/㎥)보다는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다. 여름철과 초가을 정도만 제외하면 대부분 미세먼지 속에서 보내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예일대와 컬럼비아대가 전 세계 180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환경성과지수(EPI)’조사서 2014년 기준으로 공기 질 부문 45.51점(100점 만점)을 받으며 180개국 중 173위로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미세먼지가 좀처럼 개선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서울환경연합이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중국 등 주변국 영향’을 지적한 사람이 45%로 가장 많았다. 환경성과지수에 따르면 공기질이 최하위권인 국가는 인도, 중국, 방글라데시 등으로 대부분 한국과 가까운 아시아 대륙에 몰려있다.
중국발 황사 유입은 미세먼지의 주요 원인으로 거론된다. 전국 대부분의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81~150㎍/㎥) 수준을 보였던 지난달 11일 당시 기상청은 전날 중국 북동 지방에서 발원한 황사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중국발 황사가 남쪽으로 이동하며 오후부터는 남부 지방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정부는 지난달 열린 제23차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총회(COP23)에서 미세먼지에 대응하고자 중국과 환경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하지만 미세먼지의 원인을 오로지 중국에만 돌려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있다.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립환경과학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평균 미세먼지의 국외 영향은 절반에 못 미치는 46.5%다.
같은 시기 국내에서 발생한 연평균 미세먼지는 23㎍/㎥로 국외 평균인 19.9㎍/㎥보다 높았다.
환경부가 2014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에서 발생하는 초미세먼지의 가장 큰 원인은 ‘사업장(41%)’이다. 제조업장 및 공장 등이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오염물질을 배출시키기 때문이다. 다음이 건설기계 및 선박(16%), 발전소(15%) 등의 순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