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증위와 자동배치만으로는 한계 지적 -뉴스를 통해 얻은 점유율로 언론사 불공정 계약 강요 갑질 횡포도 도마에

[헤럴드경제=최정호 기자]뉴스 편집 논란을 불러오고 있는 네이버가 다시한 번 외부 인사들을 이용해 책임 회피에 나선다. 앞서 네이버는 뉴스 편집 공정성 시비가 일자 뉴스편집위원회를 구성, 자사의 편집 시스템 객관성, 공정성이 아닌 언론사의 기사를 검열하고 재단한 바 있다.

이 같은 책임 회피에 다시 한 번 공정성 논란이 국회까지 넘어오자, 네이버는 또 다시 외부 기관 카드를 들고 나왔다.

유봉석 네이버 전무는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포털뉴스 이대로 좋은가‘ 정책 토론회에서 기사배열의 공정성에 대해 토론하는 위원회를 만들고 뉴스를 자동 배열하고 실시간급상승검색어를 선정하는 알고리즘을 검증하는 조직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유 전무는 “한성숙 대표이사 직속의 운영혁신 프로젝트 산하에 뉴스배열혁신TF(테스크포스), 뉴스알고리즘 혁신TF, 실시간급상승검색어혁신TF를 구성했다”며 “뉴스서비스의 공론화 과정을 통해 외부 의견을 모으고 함께 검증할 수 있는 위원회를 만들겠다”고 전했다.

네이버에 따르면 전면에 노출해 사용자들을 유인하는 모바일 뉴스판 관련 내부 인력이 자체 편집하는 기사는 현재 7개로 전체 기사 중 비율이 20% 정도다. 나머지는 관심도에 따라 자동 선정된다는 항변이다. 네이버는 이 20% 마져도 없에고 인공지능(AI)과 외부 언론사의 편집에 의존하겠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같은 네이버의 뒤늦은 개선책마져도, 자사의 책임을 피하려는 꼼수라는 지적이 나왔다. 패널로 참석한 손영준 국민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지금껏 논란을 볼 때 포털은 편집 기능에서 손을 떼고 무작위 노출을 하거나 매체별 편집만 보여줘야 한다. 편집을 포기하지 못한다면 공정성과 중립성 관련해 강한 규제를 받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뉴스를 자사 인터넷 점유율 확대의 수단으로 요긴하게 쓰면서도, 정작 책임을 회피해온 태도를 감안할 때, 구글처럼 뉴스 자체의 전면 표출을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황용석 건국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포털이 이미 저널리즘 시장에서 중개자로서 역할이 매우 커진 상태로, 포털의 뉴스 서비스를 없애버리면 뉴스 총 사용시간이 줄어들 우려가 크다”며 “포털과 외부 간의 상호 견제를 통해 합리적 방안을 찾는 게 맞다”고 반박했다. 이미 변화된 뉴스 소비 패턴을 감안, 네이버의 임의 편집권을 없에는 수준에서 타협점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같은 네이버의 대책도 편향성이라는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진욱 변호사는 “알고리즘 편집에서 특정 매체 성향의 독자가 강렬하게 반응하면 이를 ’많이 읽은 기사‘로 대중에 소개되는 문제가 크다. 편향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서는 네이버와 언론사의 개별 계약 과정에서 갑의 횡포 문제도 언급됐다. 정우현 한국신문협회 전략기획부장은 “정당한 뉴스 저작권료의 규모를 두고 신문 측과 포털 사이에 의견 차이가 너무 크다. 신문협회와 네이버, 카카오가 공동 연구를 통해 적정 저작권료를산정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실제 네이버는 최근까지 모바일 뉴스 소비를 통해 얻은 광고 수익을 독점하는 내용의 계약을 강요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