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 휴가기간 국회 문닫는 7, 8월에 집중 -해외여행파, 출장빙자 해외여행파, 지역구파, 은둔형 등 다양한 휴가 즐겨

[헤럴드경제=이정주 기자]지난 22일 문재인 정부의 첫 추가경정예산안(추경안) 국회 본회의 처리 과정에서 26명의 여당 소속 의원들이 불참해 ‘정족수 부족’으로 한바탕 소동을 빚었다. 표결을 앞두고 의결정족수가 부족해 추경을 두고 대립각을 세워온 야당에 협조를 구하는 굴욕을 맛봐야 했기 때문이다.

급기야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 24일 당 최고위원회의 이번 사태를 두고 ‘느슨한 당 관리’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했다. 우원식 원내대표는 “회기 중 의원들의 국외 출장 금지 등 제도적인 보완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공복의 휴가는 불경죄?>국회의원 휴가 ‘소신 해외파’부터 ‘휴가 없음’ 까지

민주당 지지자들 사이에서도 당시 표결에 불참한 의원 26명의 명단이 ‘살생부’라는 이름으로 도는 해프닝까지 벌어졌다. 이번 표결에 불참한 의원들을 향한 여당 지지자들의 비난이 쇄도하는 가운데 해당 의원들 사이에서는 억울함을 호소하는 목소리도 있다. 실제로 해당 의원들 중 한일의원연맹ㆍ중미국가 의회 교류, 해외 국방 프로그램ㆍ에너지 국제행사 참석 등 공식 일정을 사유로 불참한 경우도 있었다.

일각에서는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이 다가오면서 일정을 앞당겨 휴가를 다녀온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다. 국회의원들은 어떻게 휴가를 보낼까. 결론부터 말하면 국회의원들에게 따로 정해진 휴가 기간은 없다. 개개인이 헌법 기관인 국회의원의 자율에 맡기자는 취지다. 회기 도중이더라도 적절한 사유로 ‘청가’를 쓸 수도 있다.

25일 정치권 및 국회 관계자들에 따르면 통상 국회 열리지 않는 7~8월이 의원들의 본격적인 휴가 기간이다. 의원들은 해외여행파, 출장빙자 해외여행파, 지역구파, 은둔형 등 다양한 방식으로 휴가를 보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해외 여행 자체가 금기시되는 과거 분위기와 달리 최근에는 가족과 함께 자비로 해외로 떠나는 소신파 의원들도 대폭 늘었다. 비례대표나 초선 의원들은 다음 선거를 위해 지역구 표밭 다지기로 이 기간을 활용하기도 한다.

여당 소속 모 의원은 여름 휴가 계획에 대해 “초선이라 평소 챙기지 못한 지역구 민원을 들을 겸 휴가 때 지역 경로당, 복지시절 등을 둘러볼 생각”이라며 “보좌진들은 제 일정도 상관 없이 대부분 휴가를 다녀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야당 소속 비례대표 의원도 “비례대표라서 원래 지역구가 없었지만 최근에 당협위원장으로 임명돼 해당 지역을 본격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라며 “휴가 계획은 따로 없다”고 귀띔했다.

야당 소속 한 중진의원실 관계자는 “사실상 저희 의원님에게는 여름 휴가라는 게 없다”라며 “다음 선거를 포기한 사람 외엔 대부분 선거 대비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농촌 지역구 의원의 경우엔 여름철 휴가 기간 동안 가뭄이나 수해를 겪는 경우가 많아 지역구 곳곳을 둘러봐야 한다”라며 “해외로 가는 경우에도 의원 외교 형식으로 나가는 사례가 많다”고 설명했다.

공무 핑계로 해외 출장과 연계해 휴가를 보내는 경우도 있었다.

야당 소속 의원실 관계자는 “이번에는 상임위원회별 일정에 따라 동남아 등으로 출국해 1주일 가량을 해외에서 보내고 오실 것 같다”며 “정해진 것은 없고 상임위에 따라 그때 그때 사안이 있으면 일정이 잡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반적인 휴가는 보통 가족들과 다녀오는 경우가 많다”며 “의원들의 활동 자체가 유동적아라 당별로 국외활동 신고서를 제출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휴가 기간이 특정되지 않은 만큼 의원들이 보좌진과 산하 기관을 배려해 시기를 맞춰줄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있다.

여당 소속 중진 의원실 관계자는 “의원들에게 딱히 휴가 기간이라는 개념은 없다”며 “다만 웬만하면 의원들이 일반적인 직장인들의 휴가 기간에 맞춰줘야 산하 기관도 편하다”고 말했다. 이어 “의원의 휴가 기간에 보좌진들이 같이 쉬어야 산하 기관도 자료 요청 등에 시달리지 않고 쉴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