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상업성 도입한 부산항, 13년간의 결실은?
국내 최초 항만공사, 공기업관리체제 도입
13년간 컨테이너물동량 905만TEU, 87% 늘어

[헤럴드경제=윤정희(부산) 기자] 국내 항만공사 중 처음으로 설립된 부산항만공사(BPA)가 16일 설립 13년을 맞았다. 2004년 1월 16일 설립된 BPA는 지난 13년간 부산항의 변화를 주도해왔다.

부산항만공사는 2004년에 임직원 106명, 자산 3조4556억원, 예산 1434억원으로 출발해 2016년에는 임직원 185명, 자산 5조 7409억원, 예산 6702억원으로 성장했다.



부산항 컨테이너물동량은 2003년 1041만TEU(20피트, 6미터)에서 2016년 1946만TEU를 기록해 905만TEU, 87%가 늘었다. 그러나 예상치 못한 한진해운 법정관리 사태로 인해 2016년 목표치 2000만TEU에 미치지 못한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2016년 부산항에서 처리한 컨테이너 1946만TEU를 일렬로 세웠을 때 전체 길이는 지구 둘레(40,120km)의 약 2.9배인 116,760km에 달한다.

다른 나라 화물이 부산항을 이용하여 최종 목적지로 가는 환적화물은 2003년 425만TEU에서 2016년 986만TEU로 증가하여 561만TEU가 늘어났다. 2016년 부산항 전체 물동량 중 환적화물 비중은 수출입화물 960만TEU를 상회하는 51%를 차지해 부산항은 동북아 1위 환적 중심항만이자 부산항 개항 최초로 세계 2위 환적항만으로 성장했다.

부산항에서 환적화물을 처리해 벌어들인 부가가치는 2003년 5015억원에서 2016년 1조 1635억원으로 늘어 2.32배나 증가했다. 이것은 부산항이 2003년에 비해 매년 약 2배 정도의 환적화물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항만으로 성장한 것을 의미한다. 20피트 컨테이너 1개 환적 화물을 처리하면 약 11만8000원정도의 부가가치가 발생한다.



선박이 접안하여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컨테이너 선석 수는 2003년 18개에서 2016년 41개로 늘어나 2.3배 증가했으며, 총 선석 길이도 5.7km에서 12.5km로 2.2배 증가했다. 이는 부산항이 선박 대형화 추세에 발맞춰 항만시설확충으로 항만서비스 경쟁력을 갖춘 것을 나타낸다.

컨테이너터 터미널 운영사에 근무하는 인원은 2003년 1751명에서 2016년 4778명으로 3027명 늘어나 2003년에 비해 2.7배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했다.

부산항에 입항하는 선박 수는 2003년 1만3203척에서 2016년에는 1만5368척으로 2165척 늘어나 16.4% 증가했다. 이 중에 3만톤급 이상 선박은 2003년 2799척에서 2016년 4873척으로 2074척 늘어 74% 증가해 부산항이 초대형선박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동북아물류중심기지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BPA 우예종 사장은 “지난 13년간 부산항 경영 노하우와 성과를 토대로 부산항을 글로벌 명품항만으로 발전시켜 새로운 일자리와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계획이다”며, “북항과 신항의 기능이 재정립되는 2020년경에는 동북아시아의 싱가포르 항만으로 변모하게 될 것이다”고 예상했다. 또한 “부산항이 컨테이너 화물 위주에서 벗어나 종합물류항만으로 도약하기 위해 다양한 항만관련산업을 육성하고, 일 자리를 많이 만들어 부산과 국가경제에 기여하겠다”고 덧붙였다.

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