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쉼표]과학기술계 지원, 돈보다 자율
한국 과학기술계는 최근 수년간 위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정부의 연구지원은 일부 응용과학에 집중되면서 기초과학연구 등이 소외되고 있다. 또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원은 과학자의 삶보다 공공기관 직원으로서 각종 보고와 단기 과제 수주에 매몰돼 있다. ‘내가 이러려고 연구원이 됐나’라는 푸념 섞인 말도 나온다.

과학계의 위기를 이야기하면서 모두가 적극적인 지원을 말한다. 그러나 정작 출연연 연구원들은 바닥으로 떨어진 과학자의 위상을 먼저 높혀야 한다고 지적한다. 바로 자율과 창의적 연구환경 조성이 급선무라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일부 국회의원들은 출연연을 ‘기타 공공기관’에서 ‘연구목적기관’으로 분류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오세정ㆍ신용현ㆍ이상민 의원 등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달 초 출연연을 ‘연구목적기관’으로 분류해 자율성과 독립성을 강화하자는 내용을 골자로 한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 법률안’을 상정했다.

이들은 제안 이유로 “연구는 이익 창출을 위한 일반 공공기관 경영과는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연구목적기관의 특수성을 인정해야 한다”는 점을 들었다. 인력 운영 및 예산 집행 등 측면에서 다른 일반 공공기관과 동일하게 관리하는 것은 연구 환경 안정화 조성에 걸림돌이 된다는 것이다.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일본의 오스미 요시노리 교수(71)는 40년간 한우물만 판 과학자다.

지난 1976년부터 효모 연구에만 몰두해 세포 내 손상된 소기관이나 노폐물을 세포 스스로 잡아먹는 ‘오토파지(자가포식)’를 규명했다.

우리나라에서 오스미 교수 사례처럼 ’한우물 연구의 대가‘를 탄생시키기 위해서는 돈보다 자율이 필요할 것이다.

박세환 기자/gre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