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lfoods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 ‘지구의 식량위기를 구원할 요술지팡이인가.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는 칼이 될 것인가.
유전자변형(GMO)농산물이 지난 1996년 인위적인 유전자 변형으로 만든 ’GMO옥수수‘의 출시로 상업화 20년을 맞았지만 안전성에 대한 논란은 아직도 뜨겁게 지구촌을 달구고 있다.
유전자변형(GMO)농산물은 지난 20년간 식품ㆍ농학ㆍ생명공학 분야에서 가장 격한 찬반 논란을 부른 ‘뜨거운 감자’였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인류의 미래 먹거리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전세계 종자산업의 패권을 놓고 미국과 유럽연합(EU), 중국이 벌이는 무역전쟁 등 정치ㆍ사회ㆍ경제ㆍ무역 분야의 이슈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현재 진행되는 미국 대선에서도 GMO농산물에 대한 공화당과 민주당의 의견은 엇갈린다.
민주당 대선 후보로 유력한 힐러리 클린턴과 공화당의 사실상 대선주자인 도널드 트럼프는 둘 다 친 GMO 입장을 보이고 있는 데 반해 가장 진보색이 짙었던 민주당 경선주자 버니 샌더스 후보는 반 GMO 편에 서 있다.
양 진영의 입장은 GMO농산물을 시중에 유통시킬 때 GMO인지 여부를 표시하는지에 대한 ‘표시의무제’에서 극명하게 엇갈린다. 클린턴을 비롯해 민주·공화 양당의 대선 후보로 나섰다가 사퇴한 인사 중에선 GMO 표시 의무화를 공식 지지한 사람은 1명도 없었고 샌더스 후보만 표시의무제를 지지했다. 샌더스 후보의 출신 지역인 버몬트 주는 미국에서 유일하게 GMO를 유통시킬 때 포장지에 ‘GMO 원료로 만들었다’고 의무 표기하도록 하는 법을 2014년 5월 주 의회에서 통과시켰다. 이 법안은 올해 7월 시행된다. GMO이슈가 진보와 보수를 구분하는 ‘잣대’인 셈이다.
김용휘 세종대 식품공학과 교수는 “GMO의 수용여부, GMO 표시제도에 대한 입장에서 정치적으로 보수진영은 대체로 GMO 찬성, 진보진영은 GMO 반대로 갈린다”고 지적했다.
현재 GMO 농산물은 전 세계 30개국에서 재배하고 70개국에서 먹고 있다. GMO 종자는 세계 종자 시장의 35%를 차지하며 20년 간 100배 이상 성장했고 재배면적도 미국 땅의 몇배나 될정도로 계속 확장 중이다. 우리나라는 아직 재배하고 있지 않다.
국내에서는 아직도 대부분의 국민들이 GMO라는 말 자체도 모를 정도로 무관심하다. 하지만 2014년 기준 우리나라에 수입된 GMO는 약 1000만 톤으로 세계 2위 규모다. 콩기름, 고추장, 된장, 간장, 올리고당, 빵, 과자, 참치캔, 샐러드드레싱, 카놀라유 등 거의 모든 가공식품에 GMO가 들어갈 정도로 이미 우리 생활에 깊숙히 들어와 있다.
GMO를 지지하는 입장에서는 GMO가 세계농업지도를 근본적으로 바꾼 ‘일대 혁명’으로 평가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장렬 박사는 “GMO혁명 이후 농부의 소득증대, 경운기 및 농약저감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효과 등 GMO 작물 재배는 많은 장점이 있다”며 “자국에서 생산되는 면화 재배량의 95%가 GMO 면화인 인도는 세계 최대의 면화 생산국이 됐으며, GMO 도입에 적극적인 브라질은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농산물 수출국으로 떠오르는 등 국가경쟁력 차원에서 GMO에 대한 무조건적인 반대와 거부가 능사는 아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안전성‘에 대한 우려의 시각도 여전히 팽팽하다. GMO농산물의 위험성을 주장하는 측에서는 “1세대에서는 괜찮을지 몰라도 2세대에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고, GMO농산물이 출시된지 현재 20년이 지났고 그동안 인체에 어떤 질환을 유발한다고 입증된 건 아직 없지만 앞으로 향후 40년 이상이 지나도록 더 살펴봐야 할 일”이라고 주장했다.
세계보건기구(WHO)도 지난 3월 21일 세계 굴지의 GMO(유전자조작) 종자 및 농약회사인 몬산토사가 1974년에 개발하여 자사의 GMO 제초제 ‘라운드업’을 비롯, 전 세계 750여종의 제초제 상품에 이용되고 있는 ‘글리포세이트(Glyphosate)’ 성분을 발암성 물질 ‘2A’ 등급으로 분류, 발표한 바 있다. GMO농산물이 세계경제에 미친 파급효과가 크긴 하지만 ‘안전성’ 논란은 피해갈 수도 없고 반드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검증돼야 할 인류의 숙제임엔 틀림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