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천재소녀’ 거짓판명 파문…강렬한 욕구 현실서 실현불가능 상습적 거짓말 진실이라 믿는 현상

미국의 명문 하버드 대와 스탠포드 대를 동시에 입학했다며 한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한인 수학 천재 소녀’의 실체가 ‘거짓’으로 드러나며 한국 사회가 큰 충격에 빠졌다.

이 사기극의 중심에 선 김모(18) 양이 하버드 대 합격증 위조는 물론 여러 언론 인터뷰에 태연하게 응하는 등 평범한 여학생이 하기엔 지나치게 대담한 행동을 이어나갔다는 점에서 충격은 더 클 수밖에 없었다.

일부 전문가들은 김 양의 이같은 행동이 전형적인 ‘리플리 증후군(Ripley Syndrome)’의 유형이라고 지적한다.

리플리 증후군이란 자신의 현실에 만족하지 못해 이를 부정하면서 상습적으로 거짓말을 하고 나아가 거짓을 진실이라고까지 믿는 현상이다.

성취욕구가 강한 무능력한 개인이 마음 속으로 강렬하게 원하는 것을 현실에서 이룰 수 없을 때 주로 발생한다.

지난 2007년 벌어진 신정아 씨의 학력 위조 사건이 대표적이다.

김병수 아산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에 따르면 의식적 또는 공상적인 목적으로 거짓말을 하는 ‘허언증’은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다. 사소한 거짓말을 내뱉은 뒤 여러가지 상황이나 관계 등으로 인해 이를 들키지 않고자 거짓말을 반복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리플리 증후군은 극단에 치달을 경우 한 개인을 죽음으로 몰 수도 있다.

하지현 건국대 정신과 교수는 “거짓말에는 분명 사회적 관계 유지를 위한 기술이라는 순기능도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상황에 대한 거짓말”이라면서, “학력 등 자신의 존재와 관련된 거짓말은 자칫 존재 자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삼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극단적으로 자아가 붕괴돼, 자살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리플리 증후군 자체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리플리 증후군을 양산하고 있다는 데 있다. 전문가들은 학력지상주의, 성과지상주의 등이 제2의 김 양, 신 씨를 낳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는 “김 양도 지나친 성과위주 사회의 피해자라고 볼 수 있다”며 “실제 어떤 집단에 ‘일등에게 보상을 주겠다’고 약속한 뒤 이 과정에서 부정행위를 허용하면, 집단에 속한 사람 대부분이 속임수를 사용하기 마련”이라고 설명했다.

박혜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