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檢, 대형사건 단골 등장 금융권 예의주시…MB실세-정준양 고리 찾기 막바지 작업
[헤럴드경제=함영훈ㆍ강승연 기자] 최근 검찰의 산업계 수사 행보는 과거와 달리 ‘기획성’을 띠지 않는다. 단서가 발견되면 범죄정보 캐비넷에 넣지 않고 곧바로 수사에 나서는 모양새이다. 그러다 보니 언제 시작됐고, 언제 끝나는지 명확치 않다.

굳이 열거하면 SK, 동양, 롯데 수사가 끝나고, 이제 두산은 마무리 단계, 효성은 시작 단계, 포스코는 정점과 몸통을 향해 치닫는 상황이다.

다음 타겟은 어떤 곳일까. 이는 어떤 비리 단서가 돌발적으로 불거지느냐는 예측 불허의 변수와 기존 캐비넷의 범죄정보를 어떻게 다룰지에 대한 검찰의 의지와 전략에 달렸다.


검찰 안팎에서는 ‘빗나간 기업가의 반칙’에 대한 수사가 전시 평시 구분 없이 검찰의 일상 업무처럼 지속될 것이라는 관측이 다소 우세하다. 하지만, 정세 급변에 따라 작금의 수사 보다 강력한 대형 스캔들이 머지 않아 산업계를 시끄럽게 할 것이라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포스코, 두산, 효성이 일단락될 무렵, 산업계 보다는 금융권이 새로운 타겟으로 떠오를 것이라는 전망은 꽤 일리있어 보인다. 그간 금융권의 고질적인 병폐가 국민 생활에 해악을 끼치고 국민에게 박탈감을 제공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었던데다, 최근 정경유착 스캔들이 터질때마다 금융권이 자의반타의반 개입되고 있음이 속속 드러나기 때문이다.

▶MB실세-정준양 커넥션 정조준하는 포스코 수사= 포스코 수사 진행상황을 들여다보면 일개 사업본부장이나 계열사 사장급이 벌이기 힘든 일들이 많이 발견된다. 지명도가 높지 않은 세화엠피의 전정도 회장이 갖고 있던 성진이오텍의 지분을 국내 굴지의 대기업 포스코가 높은 가격을 메겨 인수했다거나, 전 회장이 성진이오텍을 포스코에 매각하기 직전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으로부터 성진이오텍 신주인수권을 헐값에 사들였다는 점은 선듯 상식적으로 이해되지 않는다. 알고 보니 전회장은 이명박 정부 실세와 친분관계가 두터웠다.

중소 하청업체를 상대로 도대체 남품가 장부를 어떻게 ‘과감하게’ 조작했기에 일개 본부장이 27억원이나 빼먹을수 있었는지, 또 이와 유사한 사례가 개인비리로 위장돼 적지 않게 나타났다든지 하는 일도 수사결과 속속 드러난다.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 반복되면 검찰의 칼날은 최고경영진 즉 정준양 전 회장과 MB정권 실세를 겨냥할 수 밖에 없다.

두산의 수사는 ‘박용성 회장 개인의 전횡’ 수준으로 매조지 되는 단계이고, 효성은 최근에 서울중앙지검 특수4부에 배당돼 이미 횡령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조석래 회장의 다음 세대를 상대로 ‘형제 간 전쟁’에 대해 집중적인 조명을 받게 된다.

▶금융권에 조금씩 가까워지는 검찰 칼날= 금융권 비위사실은 해마나 끊이지 않아 최근 은행장들이 모여 대책회의를 갖기도 했다. 다른 직역에 비해 봉급도 많이 받으면서, 특혜 대출, 횡령, 고객정보유출, 사기대출 등 비리가 끊이지 않는 점은 가뜩이나 이런 저런 ‘오해’때문에 수사실력을 의심받고 있는 검찰의 구미를 당기게 한다.

작금의 검찰 수사를 잘 들여다 보면, 현재 진행중인 굵직한 사건들 속에서, 금융권은 조연 또는 공범으로 늘상 등장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포스코의 새 계열사 인수과정에 산업은행과 미래에셋이 등장한다. 이들 금융기관은 최근 검찰의 압수수색에 앞서 법률대응을 한 흔적이 검찰에 포착됐다. 주범은 못되고 종범인지는 몰라도 검찰이 금융권의 고질적인 난맥상을 다시 들여다보는 계기가 될 수 밖에 없다.

경남기업의 워크아웃 특혜 제공 의혹과정에는 금융감독원과 경남기업 채권금융기관협의회 소속 은행들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성 전 회장은 정계, 관계 로비 뿐 만 아니라 금융기관 수뇌부와도 친분을 유지하는 과정에서 모종의 청탁을 했을 가능성도 있다. 말도 안되는 대출을 금감원장 전화 한통했다고 다 들어주는 은행은 없다. 그냥 들어줬을리는 없고, 안되는 대출을 성사시킨 것만으로도 죄가 되니 검찰의 금융권 수사는 의외로 쉽다.

성완종 리스트, 자원외교 비리의혹, 경남기업 특혜의혹, 산업계 수사 등 과정에서 본류에 대한 수사를 마치고 나면, 검찰은 금융권 비리에 대한 ‘이삭줍기’식 기획수사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

진행중인 사건속에서 금융 비리의 ‘전형’을 찾은 뒤 유사 혐의를 금융권 전체에서 탐색해보는 방식이다.


abc@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