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벌려놓은 판…국민도 기업도 부담…이러다‘연금 두토끼’ 모두 놓칠판
최근 정치권에서 합의한 공무원연금 개혁안이 거센 후폭풍을 맞고 있다.

이번 공무원연금 개혁안으로 인해 기금 파산을 막겠다며 선택한 공무원연금 개혁안이 사실상 후퇴했을뿐 아니라 국민연금 개정안도 다시 손을 봐야하는 등 두마리 토끼를 모두 놓쳤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국민연금은 현재의 소득대체율 40% 수준으로도 이미 재정건전성이 휘청거리고 있는 실정이다. 현 상태라면 국민연금은 오는 2047년 적자로 전환되고 2060년이면 기금이 완전히 고갈된다. 이같은 상황에서 소득대체율을 50%로 상향조정하면 기금 고갈 시점이 4~5년가량 더 빨라지게 된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여야 합의안대로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을 현행 40%(2028년)를 50%로 올릴 경우 국민연금 재정은 2050년까지 664조원, 2083년까지 1669조원을 추가 투입해야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재정 부담이 커지면서 연금 기금도 빠르게 고갈될 것으로 보인다.

기금 고갈이라는 최악의 사태를 피하기 위해선 향후 5~10년내 국민연금을 다시 뜯어 고쳐야하는 상황에 내몰릴 수 있다는 게 복지부측 판단이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소득대체율을 50%로 올리면 2083년까지 해마다 23조원 상당의 국민 혈세를 투입해야한다”며 “정치권에서 섣불리 합의하고 발표할 사안이 아니다”고 했다.

국민연금공단도 이번 공무원연금 개혁안에 대해 강한 우려감을 표기했다. 국민연금공단 측은 “40%인 소득대체율을 50%로 늘리는 것은 적게 내고 많이 받으려는 구조여서 수혜자에겐 좋겠지만 이를 부담해야하는 미래의 후손에겐 경제적 부담을 키우는 환영받지 못한 결정”이라며 아쉬움을 표시했다.

국민연금공단은 또 “소득대체율을 높이려면 공론화 과정을 거쳐 보험료율과 지급개시연령을 얼마나 높일지부터 결정해야 한다”는 뜻도 피력했다.

이번 합의안은 국민은 물론 기업에게도 큰 부담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소득대체율을 40%에서 50%로 올릴 경우 현재 기업의 경제적 부담도 한층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9%인 직장인의 국민연급 부담이 회사와 개인이 절반인 4.5%씩 부담토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직 확정된 내용은 없지만 소득대체율이 50% 오를 경우 9%인 연금 부담률을 16.7%(추정) 선으로 상향조정해야 하는데, 이때 절반인 8.35%를 기업이 부담해야 한다. 문제는 최근 경기침체로 수익률이 급락하는 상황에서 연금 요율까지 올라갈 경우 기업 부담이 덩달아 늘어 경영난을 겪는 기업이 나올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자금력이 취약한 중소기업의 경우 더욱 압박의 강도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같은 보험금이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해 연금 체불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게 공단측의 판단이다. 이 경우 부족한 연금 재정은 정부의 몫으로 돌아와 국민 혈세로 충당해야하는 최악의 최나리오를 만나게 된다.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경기 침체로 종업원 월급 챙기기도 벅찬데 국민연금 부담률까지 올라가면 경영난은 가중될 수 밖에 없다”며 “상황이 심할 경우 경영수지에 맞춰 종업원 수를 줄이거나 공장 문을 닫는 중소기업이 나올 가능성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연금공단 관계자도 “현재 소득대체율 40% 상황에서 50%로 늘어나면 미래의 후손은 물론 기업들에게도 경제적 부담이 커지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공무원연금 개혁안도 연금재정 개선을 위한 근본적 처방이 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합의안은 지급률(연금액 비율)을 1.9%에서 1.7%로 20년에 걸쳐 내리고, 기여율(공무원이 내는 보험료율)을 7%에서 9%로 5년간 높이도록 했다. 이 안대로라면 ‘더 내고 덜 받는’ 구색만 갖췄을뿐 연금 적자를 줄이기에 역부족이다. 이번 공무원연금 개혁안이 졸속 합의라는 지적을 받는 이유다.

최남주 기자/calltax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