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묻지마式 충동범죄 잡으러 프로파일러들이 떴다
[헤럴드경제=서경원 기자]진주 ‘묻지마 살인 사건’ 등 최근 들어 분노를 참지 못하고 범행을 저지르는 충동형 범죄가 사회문제화되자 국내 대표 프로파일러(범죄행동분석가)들이 대책 마련에 나섰다.

경찰청은 권일용 과학수사센터 범죄행동분석팀장을 팀장으로 프로파일러 11명으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를 꾸려 분노·충동 범죄에 대한 대응전략을 연구 중이라고 18일 밝혔다.

권 팀장은 과학수사기법으로 2010년 부산 여중생 납치·살해한 김길태 사건 등 굵직한 흉악 범죄 해결에 기여한 바 있는 국내 1호 프로파일러다.

프로파일러들이 분노·충동범죄에 대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로 한 것은 이런 범죄가 아직 개념정립도 안 된 새로운 유형의 범죄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권 팀장에 따르면 1970∼1980년대에는 치정이나 원한, 호구지책 등 동기가 뚜렷한 범죄가 주류를 이뤘다면 1990년대 중반을 넘어서면서 지존파, 막가파 등 막연한 분노의 감정을 사회적으로 표출하는 범죄가 등장하게 됐다.

이후 2000년대 들어서 유영철, 강호순과 같이 집단적인 범죄에서 개인이 계획을 수립해 피해자를 선택적으로 살해하는 범죄로 발전했다.

2010년부터 최근까지는 특별한 계획 없이 외부 자극에 의해 감정이 폭발해 범행을 저지르는 이른바 ‘무(無)동기성’ 범죄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의 분노·충동 범죄는 교묘하게 피해자를 속여 자신의 통제 하에 두고 살해하는 유영철, 강호순 등 사건과 달리 무계획적이고 충동적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가해자와 피해자간 특별한 인과관계도 없다.

권 팀장은 사회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제대로 못 하고 있다는 사회적 배제의 느낌, 상대적 박탈감이 이 같은 분노·충동 범죄의 바탕에 깔렸다고 보고 있다.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고 범죄로 이어지는 계기를 찾는 것이 프로파일러들의 숙제다.

또 분노·충동 범죄 발생의 환경적, 개인적 특질을 규명해 잠재적 분노·충동범죄 위험자에 대한 측정 도구도 개발한다.

나아가 분노·충동 범죄의 통계 기준을 마련해 실태를 파악하고, 측정 도구로 잠재적인 분노·충동 범죄자를 가려내 관련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권 팀장은 “감정을 공감하는 능력이 불필요한 사회가 돼 갈수록 분노·충동형 범죄가 늘어날 수 있다”며 “올해 안으로 분노·충동 범죄를 이해할 수 있는 책자를 일선 경찰서에 보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gi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