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신냉전의 진정한 승리자는 러시아 농민?
[헤럴드경제=문영규 기자]‘농산물 금수조치, 신냉전이 가져온 농노의 행복일까.’

러시아 농민들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농산물 금수조치로 단기적으로 가격상승의 혜택을 누리고 있지만 농업 전반에 대한 전망은 밝지만은 않다. 일부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여전히 자체 수요를 감당할 생산력을 갖추지 못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제재조치로 인해 러시아 농산물 시장의 패러다임이 변하고 있지만 지역 생산자들을 개발하는 기회가 될 지는 의문이라고 전했다.

농산물 유통업자인 보리스 아키모프는 NYT에 “농산물이 어디서 오는지에 대해 더 생각하기 시작했다”며 “정부, 기업, 사람들의 생각을 바꿔놓은 제재안이 가져온 중요한 변화”라고 말했다.

[사진=게티이미지]

그러나 그는 “제재가 농수산업의 지속가능성을 개발하고 지역 농민들을 개발할 기회를 준다면 좋겠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 같다”고 비관적인 평가를 내놓았다.

우크라이나 사태를 계기로 미국 등 서방의 경제제재 조치가 이뤄졌고 러시아는 이에 지난 8월 유럽연합(EU), 미국, 캐나다, 호주, 노르웨이 등으로부터 1년 간 쇠고기, 돼지고기, 생선, 과일, 채소, 유제품 등의 수입을 금지했다.

농산물 유통업자들은 미국ㆍ유럽산 농산물 수입이 금지되며 국내 공급처를 긴급히 찾아나섰고 공급 부족에 농산물 가격이 올랐다.

러시아 연방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0월 육류 및 가금류 가격은 18% 급등했다. 유제품 가격도 15% 올랐다. 연어의 경우 노르웨이 대신 칠레 등에서 상품을 공수해오며 운반비용이 증가해 올해 물가상승률은 예상치인 6%보다 높은 8.3%를 기록했다.

푸틴 대통령의 ‘농산물 해외의존도 줄이기’ 노력은 단기적으론 가격상승의 혜택이 농민들에게 돌아갔다. 8월부터 전면적으로 실시된 금수조치 효과는 1년간 유지된다.

대신 정부는 금수조치가 자국 농산물 소비 증대를 가져올 기회라고 대대적으로 소개했고 지난달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총리는 농산물 생산량 증대와 해외 식품 수입 의존도를 줄이는 ‘로드맵’을 발표했다.

그러나 로드맵은 내년 연말까지 농지 개발을 위한 땅을 찾는 것으로 비판론자들은 애국주의적인 말일 뿐 러시아 농민들이 확장에 필요한 운송수단, 장기 신용대출, 새로운 땅의 공급 등에 대한 정부의 지원은 적다고 지적하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일부 농민들은 금수조치를 반기고 있지만, 정부가 실제 농산물 생산량 증대를 위한 농지개발은 꺼리고 있으며 한 업자는 1에이커에 닭 수천마리를 키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하일 안샤코프 러시아 소비자권리생산협회 회장은 농산물 금수조치 철회를 요구하며 “러시아는 유제품, 생선, 채소, 기타 식품을 스스로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며 “이런 상황에서 자체적인 제재는 미친 짓”이라고 강조했다.

20세기 들어 러시아의 농산물 시장은 2차례 붕괴됐다. 볼셰비키 혁명정부가 혁명 직후 도시 빈민을 구제하기 위해 농산물을 강탈해갔고 1913년 생산량이 절반으로 급감했다.

1928년 집단농장제가 시작되며 생산량이 복구되기 시작했고 1937년까지 산업화 규모로 성장했다. 당시 90%의 러시아 농민들이 집단농장 소속이었다.

그러나 소련 붕괴 이후 농업이 기업화되고 주로 수입에 의존하게 되다보니 지난 20년 간 1억600만에이커가 넘는 농지의 생산량이 급감했다. 현재 방목하고 있는 소의 숫자는 1940년대보다도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전문가는 러시아 농민들에 대한 인식을 부정적으로 표현하기도 했다. 러시아 농업 전문가인 블라디미르 밀로세르도프는 “농노들은 언제나 2등급 시민이었다. 차르시대에도, 소련시절에도, 지금도 그렇다”고 말했다.

/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