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용산4구역 부활 서울시에 달렸다?
시공사 재선정 입찰마저 무산…市 인허가 완화 등에 실낱희망


한때 최고의 요지로 꼽히며 호가가 천정부지로 올랐던 용산 국제빌딩주변 4구역이 부동산 시장 침체와 인명 사고 등 겹악재로 어려움에 빠진 가운데 지난 15일 진행된 시공사 재선정 입찰이 무산됐다.

사실상 마지막 승부수로 여겨졌던 시공사 재선정마저 여의치 않게 되면서 조합 측은 용적률 등 각종 개발사업의 인허가권자인 서울시에 마지막 희망을 걸 수밖에 없는 입장이 됐다.

용산4구역은 지난 2009년 이주 및 철거를 반대하는 세입자와 경찰이 갈등을 빚는 중에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역대 개발사업 중 최악의 오명을 남긴 곳이다. 사고 후 갈등 봉합 과정에서 개발이 장기화되고 그 와중에 용산역세권 개발마저 무산되면서 침체일로를 걸어 지난 2007년 132%에 달했던 비례율(감정평가액 대비 조합원 보상비 비율)은 2014년 3월 59%로까지 떨어졌다.

한때 최고의 요지로 꼽히며 천정부지로 올랐던 용산 국제빌딩4구역이 부동산 시장 침체와 인명 사고 등 겹악재로 어려움에 빠진 가운데 지난 15일 진행된 시공사 재선정 입찰이 무산됐다. 조합 측은 인허가권자인 서울시에 마지막 희망을 걸고 있다. 사진은 빌딩 사이에 공터로 남겨진 용산4구역 전경.

조합원 소유 부지의 감정평가액이 1억원인 경우 2007년 기준으로는 1억3200만원의 보상금을 받을 수 있지만 2014년 기준으로는 5900만원밖에 못 받는다는 얘기다. 아울러 이 사업의 수익성도 곤두박질쳤다. 2007년 당시 이 사업의 총 수익은 1조9000억원, 총 사업비는 1조3500억원 정도 들어 약 5500억원의 수익이 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2014년 기준 이 사업의 총 수익은 1조7000억원, 총 사업비는 1조4500억원 정도 들어 약 2500억원의 수익이 날 전망이다. 약 3000억원 가량 손실을 입은 것이다.

상황이 악화되자 기존 시공사인 삼성물산, 대림산업, 포스코건설 등 3개 건설사 컨소시엄은 지난 6월 조합 측에 사업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전했다. 결국 조합은 9월 시공사 재선정 입찰 공고를 냈고 롯데건설, 한화건설, 한신공영, 화성산업 등 4개 건설사가 관심을 보였으나 입찰마감 시한인 15일 오후 3시까지 1곳도 입찰하지 않았다.

입찰 관계자에 따르면 4개사 모두 사업의 수익성 악화, 기 지출된 사업비와 이자 부담 등을 들어 최종 단계에서 난색을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용산4구역에서 기존 시공사가 부담해 온 사업비는 8월 기준 약 1286억원, 사업비 대출 이자 232억원 등 총 1500여억원에 달한다.

조합 측은 15일 입찰 무산과 함께 사업의 활로를 찾기 위한 다각적 방도 검토에 들어갔다. 현재 대형 평형 위주의 아파트 구성을 대중적 인기가 높은 중소형으로 바꾸는 안, 전체 40% 수준인 주거상품 비율을 높이는 방안 등이 유력한 해법으로 꼽힌다.

그러나 용산4구역은 전체의 90% 가량을 주거상품으로 구성할 수 있는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아닌 도시환경정비사업구역으로 지정돼 있어 주거상품 비율이 40%를 넘을 수 없다. 또한 상업용도에는 상업지역 용적률, 주거용도에는 주거지역 용적률을 적용하는 용도용적제의 적용을 받아 현재 750%의 용적률을 허용받은 이상, 주거상품 비율을 높일 경우 용적률을 일부 내놓아야 한다.

조합 측은 주거상품 비율을 좀 더 늘리면서 용적률도 일부 허용받을 경우 극적인 회생 방안이 마련될 거라며 마지막 기대를 걸고 있다. 그러나 조합의 희망사항일 뿐 칼자루는 인허가권자인 서울시에 있다.

조합 관계자는 “용산4구역은 개발사업의 소용돌이 속에서 비극적 사고로 엄청난 손실을 입어 특별재난구역이라 할 만하다”며 “만약 이대로 주저앉으면 조합원 300여명 개개인 모두 참담한 비극에 직면하게 돼 정부와 서울시의 배려가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김수한 기자/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