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공항공사 관리 공항 착륙유도장치 미설치…안전사고 우려
[헤럴드경제=박일한 기자] 한국공항공사에서 관리하는 주요 공항에 핵심 착륙유도장치가 설치되지 않아 항공기 안전사고 우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이언주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공개한 한국공항공사 자료에 따르면 활주로에 핵심 착륙유도장치인 GP(글라이드 패쓰)가 7개 공항(김해·양양·광주·울산·포항·사천·원주)에 설치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GP란 항공기에 가장 안전한 착륙각도인 3도의 활공각 정보, 즉 진입각도를 알려주는 장치다. 조종사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지만 강하하는 높낮이 정보를 항공기에 보내주어 안개·바람 등 기상에 크게 영향 받지 않고 착륙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장치가 없을 경우 조종사와 관제탑 간의 육안 확인 및 수동조종으로 착륙할 수밖에 없어 기상상황에 따라 지연·결항률이 높아지고 착륙 간 항공기 안전사고 위험도 커진다.

특히 국제공항으로 외국인 유치를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는 김해공항과 양양공항은 GP가 설치돼 있지 않은 활주로에 대체장비마저 없어 대안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2013년 아시아나 여객기 착륙사고가 발생한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 28L활주로 역시 계기착륙장치가 설치돼 있었지만 공사를 이유로 GP가 꺼져있었던 것으로 드러나 항공기 사고의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사고가 났던 샌프란시스코 공항과 양양공항은 모두 카테고리1등급 즉, 시정거리가 550m 이상 되어야 착륙이 가능한데, 양양공항의 경우 한 쪽 활주로에 GP가 없으면 시정거리가 4.8km 이상 되어야만 착륙을 허용하고 있다. 육안으로 4.8km 전방이 보이는 날씨에서만 항공기 착륙이 가능한 것이다.

이언주 의원은 “지금처럼 GP가 없는 상태로 공항을 운영한다면 비행 중 갑작스런 기상상황 변화에 따라 공항에 진입하던 항공기가 공중에서 착륙대기 또는 회항하거나 조종사의 눈과 조종경험만 믿고 무리한 착륙시도를 할 우려가 높고, 기상상황에 따라 지연·결항률도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공항 주변 환경 등으로 인해 GP 설치가 어렵다면 그에 준하는 적절한 대안을 마련해 결항률을 낮추고, 항공기 운항 안전 확보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jumpcu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