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홍석희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가 넉달여간 맡았던 원내대표직에서 물러나면서 정기국회 도중 새 원내 사령탑을 뽑아야 하는 상황에 새정치연합이 처하게 됐다. 차기 원내대표 선정 방법에 대해선 추대냐 선거냐를 두고 여러 주장이 나온다.
차기 원내대표 후보군에는 지난 원내대표 선거에 출마했다 떨어진 인사들이 1순위에, 경선 과정에서 출마를 포기했던 인사들도 거론된다. 박 원내대표가 남긴 7개월여 기간동안만 원내대표직을 하게 된다는 점에서 ‘차기’냐 ‘차차기냐’를 두고도 복잡한 셈법이 오가고 있다.
박 원내대표는 2일 오전 보도자료에서 재임 중 자신을 흔들었던 당내 일부 의원들에 대해 비판도 가했다. 그는 “일부 극단적 주장이 요동치고 있었던 것도 부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상돈 사태’후 일부 의원들이 원내대표직 사퇴를 요구한 것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가 ‘2004년 국가보안법 협상’을 사퇴 발표문에 언급한 것도 자신을 강하게 흔들었던 인사들 다수가 ‘친노ㆍ486ㆍ강경파’였던 것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새정치연합 내에는 2004년 국보법 협상에 대해 “폐지가 아닌 수정이 맞았다”는 비판이 최근의 당 내홍 과정에서 불거져 나왔다.
박 원내대표의 사퇴는 ‘탈당 파동’후 복귀하면서 ‘세월호 특별법 문제를 매듭지은 후 원내대표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힌만큼, 정상적인 수순으로 읽힌다. 다만 세월호 특별법 타결 후 사퇴 발표까지의 과정이 비교적 전격적으로 이뤄지면서, 당이 또다시 혼란에 빠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우선 지난달 30일 합의안에 대한 추가적인 대여 협상 포인트가 모호해졌다. 당장은 우윤근 정책위의장과 김영록 원내수석부대표가 박 원내대표의 빈자리를 메울 수 있지만 원내대표 공석이 장기화 될 경우 대표성 논란이 있을 수 있다. 우 정책위의장은 김한길 전 대표가 임명한 인사이고, 김 원내수석부대표는 박 원내대표가 임명한 인사다.
가능하면 차기 원내대표를 빠르게 뽑아야 하지만, 통상 2~3주 걸리는 원내대표 선거를 정기국회 도중에 뽑아야 하는 것도 쉽지 않은 선택이다. 이 때문에 합의 추대를 통해 새 원내대표를 뽑자는 얘기도 나온다.
그러나 이를 위해선 원내대표가 되고 싶어하는 인사들의 동의가 전제돼야 한다. 이를 조율해 내는 것이 가능할지가 관건이다.
또 박 원내대표의 뒤를 잇는 후임 원내대표는 내년 5월까지가 임기다. 7개월짜리 반쪽 원내대표직인 셈이다. 이 때문에 하마평에 오르는 인사들 사이에서도 이번이냐 다음번이냐를 두고 고심을 적지 않게 할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2016년 총선 공천을 걱정하는 인사는 출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나온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전임 원내대표게 공천을 주는 것은 관행이다. 2012년 선거에서 김진표 의원이 공천을 받은 것도 같은 이유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