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달릴 수 있도록 훈련하는 일까지, 그야말로 하루 24시간이 모자를 정도이다.
제주도가 말의 고장이긴 하지만, 말을 키우는 축산농가가 본격적인 수익을 올리기 시작한 것은 불과 30년전에 불과하다. 그 전에는 경마에 사용되는 경주마의 대부분이 미국, 호주 등 수입산 이었는데, 1980년대에 국산 축종 활성화 계획의 일환으로 토종 국산 경주마를 키워내자는 열망이 비로소 싹텄기 때문이다. 비록 30년이 지났지만, 수백년 동안 말을 개량하기 위해 국가적인 노력을 기울인 서양 선진국에 비하면 아직 그 수준은 많이 부족하다. 전문 인력도 없거니와, 참고할 만한 기술 서적 하나 변변치 못하다. 농작물의 씨앗 전쟁처럼, 여러 선진국은 말 역시 국가의 중요 자원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쉽사리 기술을 개방하려 하지 않기에 기술 수입도 어려운 형편이다.
그나마 2011년에 제정된 말산업 육성법 덕분에나마 숨통이 조금 열렸다.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특정 가축에 대해 특별법이 제정된 것인데, 친환경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말산업의 가치를 인정받은 셈이다. 그러나 말산업 육성법만으로는 부족하다. 비록 정부나 지자체 등에서 말산업 육성과 지원을 위해 발 벗고 뛰고 있지만, 말산업이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민의 관심이 필요하다. 소는 한우, 돼지는 한돈이라고 해서 국산품 사랑 운동 수준으로 범국민적 관심과 애정을 보이고 있지만, 말은 아직까진 낯선 가축에 불과하다. 만주 벌판을 달리던 고구려 기마무사에서 시작해, 우리 역사와 문화에서 말의 비중이 결코 작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말이다.
얼마 전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이 왕실 소유의 경마장에서 열린 경마 대회에서 자신이 소유한 경주마가 우승하는 장면을 보고 소녀처럼 기뻐하던 사진이 신문에 실렸다. 원래 말을 활용한 경마나 승마는 그 나라의 독특한 전통을 상징하는 문화 매개체이다. 영국의 경마, 독일의 승마, 미국의 로데오가 그렇다. 요즘에는 단지 전통에서 그치지 않고 관광, 레저, 스포츠 상품 등으로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경마라고 하면 무조건 도박으로 보며 죄악시하고 있다. 최근 시범 운영에 들어간 서울 용산 화상경마장이 그 단적인 예라고 하겠다. 나를 비롯한 축산농가에서 자식처럼 애지중지 키운 말이 한낱 화투장같은 도박 용품 취급을 받을 때면 한없이 서글퍼진다.
우리나라 말산업은 이제 걸음마를 떼었다. FTA로 신음하던 많은 축산농가가 말을 키우기 시작했고, 나를 비롯한 젊은 축산농가는 함께 모여 외국 사례를 보고 배우며 공부를 하고 있다. 용산 구민들이 농부의 애절한 마음을 이해하고, 말산업과 경마에 대해 넓은 마음으로 지켜봐 주시길 부탁드린다.
※외부 필진의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