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선진국은 줄이고…개도국은 늘리고
지구촌 脫원전 바람 불지만…
“제조업 경쟁력을 유지하고 에너지 안보를 위해 원자력 발전을 유지해야 한다.”

일본은 지난 2011년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사고를 경험했지만 원자력 발전을 포기하기 힘든 입장이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아베노믹스(경기부양정책)’를 지속하고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전력 생산량 유지가 관건이기 때문이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독일, 프랑스 등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탈(脫)원전 바람이 불고 있으나 당장 전력난이 시급한 개발도상국에는 원전이 오히려 대안이 되고 있다.

유럽을 중심으로 소수의 일부 선진국들이 탈원전에 가담하고 있는 가운데 아시아, 동유럽 지역의 개발도상국은 상대적으로 원전을 선호하는 분위기다.

2013 세계원자력발전현황보고서에 따르면 7월 기준 전 세계에서 가동 중인 원자로 수는 427개로, 가장 많은 원자로를 가동하고 있는 국가는 미국이었다. 미국이 가동 중인 원자로는 100개, 생산량은 9만8903MWe에 달한다. 두 번째로 많은 나라는 58개의 프랑스로 생산량은 6만3130MWe, 프랑스 내에서 생산되는 전력의 75%를 담당한다. 이어 일본이 44개, 러시아가 33개이며, 한국은 23개로 전 세계 5대 원자력 발전 국가에 속한다.

반면 독일은 지난 2004년까지만 해도 18기의 원자로를 가동하며 전 세계에서 네 번째로 많은 원전 발전량을 기록했으나 현재 가동되는 원자로는 절반으로 줄어 9기에 불과하다. 이 밖에 스위스, 이탈리아 등도 탈원전에 가세했다.

건설 중인 인도의 쿠단쿨람 원자력발전소.

아시아 및 동유럽 국가들에 있어 원전의 저렴한 전력생산단가는 원전 사고의 위험을 상쇄시킨다.

특히 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를 중심으로 원전 수요가 높으며 이는 건설 중인 원자로 수로 확인할 수 있다. 현재 건설 중인 원자로 수는 중국이 28기로 가장 많고 러시아 9기, 인도 7기, 브라질이 1기다. 특히 인도는 세계 각국과 원자력 협력 협정을 연달아 체결해 원전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문영규 기자/ygmoo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