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용산개발, 부도만 기다리는 상황
[헤럴드경제=백웅기 기자] 용산역세권개발사업이 파산 수순에 접어들고 있다. 자금 조달을 위한 나름대로의 방법을 총동원하고 있지만 출자자들간 이해가 엇갈려 실행에 옮기지 못하는 아이디어만 쏟아지다가 금세 사장되는 모양새다. 코레일 등에서 부도 이후의 상황에 대비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되지만, 부도가 현실화될 경우 후폭풍은 상상 이상으로 거셀 것이란 전망이다.

부도만 기다리는 상황= 용산역세권 사업 시행사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이하 드림허브)는 당장 오는 12일 만기가 된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의 이자 59억원을 갚아야 할 상황이다. 용산역세권개발사업의 청사진이 총 30조원 규모의 대역사였던 것에 비춰보면 적은 금액이지만 어느 출자자도 새로운 자금을 투입할 뜻이 없는게 현실이다.

드림허브는 지난 5일 이사회를 열어 사업이 무산되는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 최대주주이자 사업부지 원소유주인 코레일 측에 전환사채(CB) 625억원을 우선 인수해달라고 요청했다. 전체 2500억원 규모의 CB물량 일부를 코레일이 책임지면 민간 출자자들이 주주배정이나 3자배정 방식 등을 통해 오는 6월말까지 남은 몫을 인수하겠다는 약속도 덧붙였다. 각 출자사 내부 승인 절차와 외부 투자자 유치활동 기간 등을 고려한 기한으로, 일단 부도 위기를 모면한 뒤에 향후 대책과 사업계획 변경에 대해 논의하자는 제안이다.

하지만 코레일은 단칼에 거부하는 뜻을 밝혔다. 코레일 관계자는 “2500억원 CB발행건은 이미 1년전부터 똑같은 얘기만 반복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다른 민간출자자들도 함께 부담하겠다면 코레일도 기꺼이 응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코레일이 우선 부담해달라는 안은 이사회에 상정조차 하지 못할 일방적 호소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다만 코레일은 이날 이사회가 별도로 590억원 규모의 CB발행건을 승인한 데 대해선 내부 논의절차를 밟겠다는 의사는 밝혔다. 그러나 출자사 지분 비율과 무관하게 참여사가 자금을 투입하는 3자 배정방식의 CB발행에 코레일이 응할 가능성은 희박해보인다.

정부가 나서라? = 코레일은 아직 받지 못한 토지대금 가운데 2조6000억원을 출자전환하는 대신 민간 출자사가 1조4000억원을 추가 출자하는 증자안을 제시해 사업 정상화 기대감을 심어주기도 했다. 증자가 성사된다면 바로 랜드마크빌딩 2차 계약금 4161억원을 추가 지원해 유동성을 살리겠다는 계획이었다. 이에 2대 주주인 롯데관광개발은 자산관리 위탁사인 용산역세권개발㈜의 지분을 모두 코레일에 넘겨 경영권을 이양하겠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다.

이 계획대로라면 코레일 지분은 현재 25%에서 57%로 늘어 공영개발 전환이 가능하다. 하지만 동시에 재무적투자자(FI)로 참여한 금융사 보유지분도 23.65%에서 4.73%로 떨어져 현행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 운영조건에 맞지 않는 문제가 생긴다. 추가 출자 문제로 주무부처인 국토해양부가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기도 했지만 섣불리 개입할 수 있는 문제도 아니다. 국토부 관계자는 “토지대금 미수금 일부를 출자 전환한다는 것이 당장 가시적인 추가 자금부담이 있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딱히 유동성에 도움이 될 만한 조치도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면서도 “공기업 자율성 보장 차원에서 직접적인 개입은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민간 출자사들이 1조4000억원 규모의 추가 출자에 나서는 것도 어려워 코레일이 제시한 증자안은 여러 면에서 현실성이 부족했다는 평가다.

부도 파장 감당할 수 있을까= 부도가 가시화하면서 출자사들도 나름의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수습작업은 사업을 지속하는 것 이상으로 어려울 전망이다.

최대주주인 코레일은 완전 자본잠식이 불가피하다. 현재 코레일 자본은 용산사업관련 손실 등을 반영하지 않아 플러스로 유지되는 상황이지만 사업 파산시엔 바로 빨간불이 켜진다. 8조원의 토지대금 가운데 코레일은 5조3000억원을 아직 받지 못했다고는 하지만 사업이 무산돼 토지를 환수해갈 경우 드림허브측이 지불했던 2조5000억여원을 돌려줘야 할 상황인 것이다.

서부이촌동 주민들의 반발도 무시못할 일이다. 통합개발로 사업부지로 묶이는 바람에 서부이촌동 주민 3500여가구가 6년여간 재산권 행사를 제대로 하지 못한채 보상만 바라보고 피해를 감수했던 터라 줄소송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

kgungi@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