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 반, 우려 반’ 속에 출범한 민주통합당 ‘이해찬 호(號)’가 발빠르게 대선 체제로 재편되고 있다. 이 대표는 연일 당내 중진급 의원들을 만나며 당대표 경선 기간동안 흩어졌던 당심을 모으는 데 주력하고 있다.
지난 12일 낮 이해찬 당대표는 당내 3선급 의원들을 여의도 모 식당에서 만났다. 집무 첫날인 지난 11일 4선 이상 의원들을 만나 자신의 정국구상을 밝힌 연장선이다. 이 대표는 이 자리에서 “정권교체를 위해 당심을 모아달라”고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은 12일 저녁 당직인선안을 의결 발표했다. 당초 13일께에나 발표될 예정이었지만 하루 앞당긴 것이다. 조경태 의원을 시작으로 당내 경선 주자들의 출마가 본격화되는 시점에서 빠른 당직자 인선이 필요하다는 이 대표의 판단이 그 배경이었던 것으로 알려진다.
당직자 인선은 최고위 전원의 만장일치로 의결됐다. 사무총장과 정책위의장은 유임됐고, 기존 박용진 대변인 외에 정성호 김현 의원을 추가해 3명의 대변인 체제를 구축했다. 당직 대부분을 현역 의원들로 채운 것도 특징이다. 대선 승리를 위한 전력 보강차원이라는 게 민주당 측 설명이다.
이 대표는 대선 후보 경선 일정도 밝혔다. 7월 중 경선 룰을 확정하고, 9월 중순 당 대선후보를 선출한 다음 안철수 교수와는 11월초께 단일화하겠다는 복안이다. 이는 6월중 경선룰을 확정하고, 8월중 당 대선후보를 뽑겠다는 당초 안보다 1달가량 늦춘 것이다. 경선 흥행을 위해 올림픽 기간을 피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넘어야 할 산도 많다. 지난 2002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당선될 당시 선거 막바지 정몽준 후보와의 깜짝 단일화가 큰 변수로 작용했지만 올해 대선에선 안철수 교수와의 단일화 안이 이미 너무 노출돼버려 극적인 효과가 2002년 때처럼 폭발력이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당-대권 분리 규정’도 해결 과제다. 민주당은 대선 후보는 대선일 1년 전부터 당 대표나 최고위원을 맡을 수 없다는 규정을 두고 있다. 따라서 지난 1ㆍ15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에 선출됐던 인사들은 대권 출마가 불가한 상태다. 이 대표는 기간(1년)을 수정할 수도 있다고 밝힌 바 있지만, 다른 대선 주자들의 반발 여론도 적지 않다. 경선 흥행을 위해선 당규 수정이 필요하지만 대선체제 코앞에서 규정을 바꿀 경우 ‘고무줄 당규’ 비난도 일 수 있다.
<홍석희 기자 @zizek88>
hong@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