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에는 좌우도, 여야도 없다. 중국이 변하지 않는다면 끝까지 가보겠다”
탈북자들의 대모를 자처하고 나선 박선영 자유선진당 의원이 29일로 9일 째 중국 공관 앞에 자리를 틀고 홀로 중국 정부와 맞서고 있다. 초선 비례대표인 박 의원은 의정활동 4년 내내 한국 전쟁 전후 납북자와 북한 이탈 주민 문제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박 의원은 “미래의 통일 국가를 생각하면 지금 북한에서 권리를 침해받고 있는 사람들에 대해 모른 체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제 3국의 민주화 운동에는 관심을 기울이면서 정작 북한 인권에 눈 감고 침묵하는 것은 잘못됐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한민족이라 칭하면서도 정작 북한 주민들의 인권 침해에 침묵하는 이 땅에는 진정한 보수도, 진보도 없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인권 앞에 북한이 붙으면 진보는 말을 하지 않고, 보수는 그것을 설득하려 하지 않는다는 게 박 의원의 지적이다.
외롭게 인권문제를 제기해 온 만큼 이를 외면해왔던 국회에 대한 실망감도 크다.
박 의원은 “4년 내내 탈북자들의 인권 문제를 제기하며 너무 외로웠다”며 “생명권이 달린 문제를 외면하는 국회가 무슨 염치로 표를 달라고 하느냐”고 밝혔다.
이어 “탈북자 강제북송 중단 촉구결의안도 우리 정부가 강하게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으면 역시 휴지조각에 불과하다”면서 “정부가 나서서 그 결의안 내용에 들어있는 것을 하나씩 실천하고 행동으로 빨리 옮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이 중국의 북한 탈북자 북송을 반대하며 중국 공관 앞에서 장기 단식에 돌입한 가운데 그동안 대책 마련에 미온적이던 정부당국과 국회에 대한 비판 여론도 빗발치고 있다.
미국 의회까지 나서 중국의 탈북자 강제북송 위기와 관련해 긴급 청문회를 열기로 한 마당에 한국 국회는 지난 27일 탈북자 강제북송 중단 촉구 결의안만 통과시킨 뒤 팔짱을 끼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도 지난 28일 유엔 인권이사회에 “모든 관련국은 탈북자 송환금지 원칙을 지켜달라”며 처음으로 탈북자 문제를 거론했지만 구체적인 대중 압박 대책은 요원하기만 하다.
단식 일주일을 넘어서면서 박 의원의 건강에는 이미 적신호가 켜졌다.
박 의원은 그러나 “이번에 내게 (탈북자들의)구조요청을 한 분들은 대부분 한국에 부모나 자식, 또는 조카나 삼촌 등 가족이 있는 분들”이라며 “우리 국적법 상 그들(탈북자들)은 마땅히 우리의 국민” 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손미정 기자@monacca> balm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