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애마부인’‘바람과함께..’ 수제 영화간판 한자리에
디지털 사진을 그대로 출력하는 영화 간판이 일반화되면서 손으로 그린 수제(手製) 영화간판은 사라진지 오래다. 배우 신성일, 안성기의 얼굴이 극장마다 조금씩 다르게 묘사돼 비교해보는 묘미가 짭짤했던 극장 간판을 다시 보는 전시가 열린다. 서울 중구의 충무아트홀 갤러리가 기획전으로 ‘사라진 화가들의 영화’전을 마련했다.

전시에는 이제는 추억 속으로 사라져버린 ‘수제 영화간판’의 형식과 기법을 차용해 지나가 버린 것에 대한 향수를 풀어낸 작품이 다양하게 출품됐다. 또 사회 현상을 풍자적으로 풀어낸 작품도 나왔다.

특히 관심을 모으는 것은 단성사, 대한극장 등 유명극장의 영화간판을 40여년간 그렸던 국내 ’영화간판의 산 증인’ 백춘태(67) 작가를 비롯해 백 작가의 뒤를 이어 오랜 기간 ‘간판쟁이’로 활동했던 화가들의 그림이 나왔다는 점. 



해방 직전 황해도에서 태어나 여섯살 때 월남한 백춘태 작가는 어린 시절부터 그림 그리기를 좋아했지만 어려운 가정 형편 때문에 미대 진학의 꿈을 접어야 했다. 대신 그림도 그리고, 좋아하는 영화도 원없이 볼 수 있는 ‘간판장이’의 길을 택했다. 1959년 영화 ‘이름없는 별들’을 시작으로, 국내의 내로라 하는 영화가 그의 손을 거쳐갔다. 그러나 1980년대 초까지도 간판미술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매우 낮아, ’간판장이’라며 하대했다. 수입도 적은 편이었다.

백 씨는 “60~70년대에는 사실 극장도 어려웠죠. 사람들이 1년에 딱 두 번, 설과 추석에 목욕과 이발을 하던 시절이었으니까요. 극장도 그 때가 고작 대목이라 간판 일도 그리 많지 않았어요"라고 돌아봤다. 그러다가 외화가 본격적으로 들어오면서 간판 제작수요가 증가했고, 간판미술가에 대한 처우도 차츰 나아졌다는 것. 그는 "한창 잘 나갈 땐 서울시내 개봉관 간판은 거의 다 그렸다. 줄잡아 수천편은 될 것"이라며 “극장마다 간판의 구도나 색상, 기법이 달라 간판장이들 사이에 경쟁심이 생기곤 했다”고 토로했다. 



그는 마지마까지 수제 간판을 고집했던 단성사가 2000년대 들어 멀티플렉스 상영관으로 바뀌면서 붓을 놓았다. 백 씨는 “수제 영화간판은 사람 냄새, 땀 냄새가 났다. 지금은 죄다 똑같이 찍어내니 인간미가 덜 하다. 낭만도, 간판 자체가 풍기는 맛도 사라진 셈”이라고 안타까움을 표했다.

백 씨는 이번 전시에 ‘콰이강의 다리’, ‘경마장 가는 길’, ‘장군의 아들’, ‘애마부인’ 등 자신이 그린 간판작업을 하나의 캔버스에 옮긴 ‘아름다운 시절’을 출품했다. 또 과거에 그렸던 간판을 촬영한 사진들도 선보인다.


전시에는 백 씨와 함께 간판미술가로 활동했던 김영준, 김형배, 강천식의 수제 영화간판이 내걸렸다. 또 이들의 인터뷰 및 간판 제작과정을 담은 작가 김현승의 영상도 볼 수 있다. 전시는 12월31일까지. 02)2230-6628 <사진 제공-충무아트홀 갤러리>

이영란 선임기자/yr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