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로 산다는 것’(문학사상)은 김경욱, 김훈, 김애란, 이혜경, 전경린, 이순원 등 우리 시대 소설가들이 그린 자화상이자 우리 소설의 새로운 창작론이기도 하다.
빈틈없이 꼼꼼하게 언어의 그물망을 짜 나가는 김애란, 하나의 소설을 시작하기 전, 노래를 찾아 헤매는 김연수, 김인숙의 낯선 곳에서의 글쓰기 방식과 퍼즐 맞추기 등 저마다 소설은 다른 방식으로 태어나고 있었다.
작가들이 들려주는 이야기 속에는 소설을 짓는 과정이 저절로 드러난다. 일상의 소소한 어떤 습관, 혹은 우연한 작은 사건이 씨앗이 돼 또 다른 상상을 몰고 오고, 움직이면서 눈덩이처럼 점점 부풀어가고 단단해지는 과정이 실감나게 다가온다. 그건 김인숙 식으로 말해 오천 피스짜리 퍼즐을 맞추는 일처럼 흥미롭고 정교하다.
말하자면 소설 쓰기는 ‘그거 하는 동안은 다음 번의 한 피스’ 이외에는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3인칭과 1인칭을 놓고 하루 종일 씨름하고 ‘꽃이 피었다’와 ‘꽃은 피었다’ 사이에서 줄담배를 피우며 갈팡질팡하는 김훈의 글쓰기의 무거움과, 풀린 뜨개실처럼 저절로 코에서 빠져나와 흘러가는 듯 보이는 박민규식 글쓰기의 가벼움 등 작가들의 고백을 듣다 보면 하나의 공통점 같은 것도 발견된다.
그건 윤성희가 스티븐 킹에서 발견했다는 말, “한 번에 한 단어씩 쓰죠.”
이윤미 기자/meelee@heraldm.x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