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 <머니스토리> 금융주를 피해야하는 이유
종종 금융을 하반기 유망업종으로 꼽는 보고서를 볼 수 있다. 하반기 실적도 나쁘지 않고, 워낙에 값이 싸다는 이유 등이다. 사실 순자산가치대비 싼 게 분명하지만 그럴 만한 여러 문제점이 있다. 코스피 대비 부진한 금융주들의 움직임은 이를 반영한 결과다.<그래프 참조>

가장 먼저 금융주내 최대지분을 차지하는 은행주는 관(官) 리스크가 너무 크다. 정부는 최대주주 승인권과 감독 및 검사권, 그리고 이에따른 임원 면직권이 있다. 따라서 금융지주사와 은행의 경영진의 최종결정자는 사실상 정부다. 주주권 제한이다. 이렇게 선임된 임원들의 주주경영의지도 약할 수 밖에 없다. 은행권 인수합병(M&A)도 사실상 정부가 결정한다는 것은 이젠 공공연한 비밀이다.

은행은 여수신 기능을 모두 갖고 있어 금융정책의 영향도 직접적으로 받는다.

요즘 문제가 되고 있는 가계부채의 경우 은행에게는 수익자산이지만, 정부에게는 골칫거리다. 정부가 가계대출을 제한하고 예대마진을 통제한다면 은행의 이익이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정부가 예대율을 낮추기 위해 수신을 늘리고, 대출 및 은행채 발행은 줄이도록 유도한다면 역시 은행에는 부담이다. 그 동안 은행들은 공공기관들과 함께 우량회사채 시장을 사실상 독식하면서 싼 값에 시장자금을 조달해 비싼 이자를 받고 비우량기업들에게 돈을 빌려줬기 때문이다. 예금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려면 이자를 지급해야한다. 당장 대출할 곳도 마땅치 않고 예대마진도 제한되는 상황이라면 비용만 늘고 이익은 줄어들게 된다.


고정금리대출을 늘리라는 정부의 압력 역시 은행으로서는 반갑지 않다. 은행들을 그동안 변동금리 대출로 금리변동의 위험을 고스란히 대출자에게 떠넘겨 왔다. 고정금리로 대출을 할 경우 금리변동 위험을 은행이 스와프시장 등을 통해 관리해야하는 데, 이에따른 리스크와 비용이 상당하다.

그럼 은행 외에 다른 금융주에는 투자할만 할까? 그렇지 못하다.

보험주의 경우 보험시장이 이미 포화상태에 가까운 데다, 저금리로 인해 보유자산 운용도 쉽지 않다. 규모의 경제를 갖춘 업계 최상위권 업체들 정도만 생존할 전망이다. 생명보험사는 저금리가 계속되면 예전 높은 고정금리를 보장했던 상품들의 역마진 부담도 커진다.


증권주 역시 마찬가지다. 그 동안 초단기 콜자금으로 중장기 채권에 투자해 손쉽게 돈을 벌던 사업모델이 최근 콜차입 규제로 어려워졌다. 각종 수수료 인하로 지점의 수익성도 악화됐다. 상대적으로 싼 값에 시장자금을 조달할 수 있고, 충분한 고객을 확보해 지점에서도 수익을 낼 수 있는 몇몇 대형 증권사만이 살아남을 가능성이 커졌다. 하지만 대형사 역시 위험을 감수하는 투자은행(IB)으로의 변신해야한다는 과제가 남았다. 겪어야할 시행착오를 감안하면 선뜻 투자를 권하고 싶지는 않다. 그나마 금융업은 라이센스 업종인만큼 중소형 보험사나 증권사를 중심으로 M&A테마가 발생할 가능성은 있다.

<홍길용 기자 @TrueMoneystory>
/kyho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