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7년 만의 기본료 인하 .... 업계-방통위 엇갈린 입장
기본료 인하로 통신업계가 수천억원의 매출 감소를 감내해야 할 상황에 놓이게 됐다.

기본료 1000원 인하 결정으로 SK텔레콤은 연간 3120억원의 손실이 불가피해졌고 초고속인터넷요금, 문자메시지 무료 제공 등으로 총 7500억원의 매출이 줄어들게 됐다. 시장에서는 SK텔레콤의 경우 내년 매출이 올해보다 5% 이상 줄어들고 영업이익은 15% 이상 감소할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후발 사업자인 LG유플러스는 기본료에 이어 유선요금인하까지 고민해야 하는 최악의 상황에 놓이게 됐다. KT 역시 기본료 인하에 동참하지 않을 수 없는 분위기여서 올해 4세대 네트워크 투자를 앞두고 있는 업계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방통위는 부인하고 있지만 통신비 인하안이 발표된 이후 여론은 정치권의 압박에 밀린 결과 방통위가 소비자와 시장을 모두 만족시키는 데 실패했다는 쪽으로 모아지고 있다. 통신업계가 기본료 인하에 막판까지 반대한 것도 이런 점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이동통신사들의 기본요금 인하는 사실상 지난 2004년 9월 이후 7년 만으로 통신사들이 받는 타격은 그 만큼 컸다.지난 2008년 3월에도 기본료 인하가 있었지만 당시에는 기존에 주어지던 무료통화나 심야할인 혜택이 같이 폐지됐다.

당시 SK텔레콤과 LG텔레콤이 각각 기본료를 1000원과 1100원씩 내렸지만 SK텔레콤은 무료통화 10분 혜택(약 1086원)을, LG텔레콤은 할인시간(오후 7~12시) 통화료 인하 옵션을 없앴다.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는 "이통사들이 받을 매출 타격을 보전하기 위해 할인혜택 등을 없애는 방식을 취해 인하 효과가 별로 없었다"며 "순수히 기본료를 내린 것은 약 7년 만의 일"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통신업계의) 투자여력은 마케팅 비용을 줄이거나 차입 등을 통해 확보할 수 있다"며 "후발 사업자인 LG유플러스도 경영 합리화 등을 통해 인하에 동참해야 한다"고 말했다.

통신업계는 그러나 “기본료 인하로 막대한 손실이 불가피해졌다"며 "소비자도 만족하지 않는 이 같은 강압적인 요금인하 정책이 더 이상 반복되서는 안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방통위가 마케팅 비용 축소 등을 언급하는 데 대해 "그렇게 되면 오히려 소비자들의 단말기 가격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이에 반해 방통위는 이번 조치가 사업자들의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이 불가피하다면서도 (사업자들이) 충분히 버틸 만한 수준은 된다는 입장이다.

방통위는 이번 기본료 인하 결정에 ▷국내 통신사업자들의 영업이익률은 해외 통신사들에 비해서는 낮지만 국내 다른 기업들에 비하면 높다는 점 ▷스마트폰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앞으로 가입자당매출(ARPU)은 꾸준히 증가하게 된다는 점 등이 감안됐다고 설명했다.

<최상현 기자@dimua>puquap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