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 수도권 저축은행들이 전체 시장의 80%를 차지하면서, 비대칭적 시장을 개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3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분기 기준 국내 저축은행수는 79개사로, 이들 저축은행의 전체 자산 규모는 102조4383억원, 당기순이익은 1조592억원을 기록했다.
이 중 서울·경기 지역에 소재하는 38개 저축은행의 자산(80조9778억원)은 전체 자산 규모의 79%를, 당기순이익(8737억원)은 전체 순이익의 82%를 차지했다.
반면 지방 저축은행들의 자산 규모를 다 합치면 21조4605억원으로, 이는 경기(21조1377억원) 지역 한 곳의 규모와 비슷한 수준이다. 당기순이익 역시 경기(2199억원) 지역에도 미치지 못 하는 1855억원에 그쳤다.
지난 1일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이 저축은행 대표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저축은행중앙회가 지역 저축은행 위주로 참석 은행을 선정한 것도 이같은 지역별 격차를 감안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간담회에서 정 원장도 “저축은행 산업 내 규모 차이가 확대됐다”며 “규모에 따라 시장 영향력 차이가 있어서 시장 리스크를 감안해 검사, 감독할 것”이라고 밝혔다.
업계에선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현재 서울에 분포한 대형 저축은행은 저축은행 간 인수합병(M&A) 참여가 어렵다. 상호저축은행법에 따라 6개 영업 구역으로 나눠 구역 내 M&A만 허용하기 떄문이다. 이에 규모가 영세한 지역 저축은행끼리 M&A에 나서다보니 이에 따른 시너지가 작고, 대형 저축은행이 시장을 주도하면서 상대적으로 위축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을 올해 21.1%에서 내년 10%대로 내리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고, 여기에 중금리대출 금리 상한도 16%로 낮아지면 저축은행업권 전반에 걸쳐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지역 저축은행의 한 관계자는 “정부와 당국이 지방 경기 활성화 차원에서 자산규모 등 외형적 성장 지원, 영업 구역 관련 규제 완화, 공적 보증 연계를 통한 금융 지원 등 지역 저축은행 활성화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thlee@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