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해양사고 반으로 줄이자] [르포] “응답하라”…해역 위험상황 24시간 탐지 중
(4) 야간운항, 철저한 교신이 답
‘여수밤바다’ 낭만 떠올리기 쉽지만 ‘취약’
탐지‧교신수단 발달할 수밖에 없어
광안대교 충돌 러 선박도 ‘음주운항’
지그재그 운항‧어눌한 말투로 검거

지난 2일 인천 중구 인천항해상교통관제센터에서 선박교통관제사들이 레이더, 선박자동식별장치(AIS) 등을 통해 선박의 위치를 탐지하고 있다. [해양경찰청 제공]

[헤럴드경제=주소현 기자] “항계 지나서 이곳까지 오는 데에 두 시간 반 정도 걸립니다.” 하루에도 300여 척이 넘는 배들이 수도권의 관문 인천항해상교통관제센터(VTS)의 관제구역을 거쳐 인천항으로 들어온다. 대이작도·소이작도 부근부터 인천대교를 지나 인천항에 들어오기까지 인천항VTS의 관제구역은 603㎢로 서울시 면적에 맞먹는다.

지난 2일 헤럴드경제가 인천 중구에 위치한 인천항VTS의 관제실으 동행 취재했다. 인천항으로 들어오는 선박들을 쉽게 내다보기 위해 인천항 VTS 관제실은 언덕 위에서도 6층 원형 건물 꼭대기에 자리 잡았다. 망망대해에서 왜 선박 간 사고가 날까 생각하기 쉽지만 제동이 쉽지 않은 특성상 한번 사고가 나면 대형 인명·재산 피해로 번지기 쉽다. 선박간 충돌 사고부터 음주운항, 좌초, 침수 등 다양한 사고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인천항VTS의 선박교통관제사들은 24시간 내내 한시도 모니터에서 눈을 뗄 수 없다.

관제사들은 실시간으로 선박의 위치를 탐지하고 선박과 통신하며 운항 안전과 확보한다. 인천항으로 드나드는 배가 항로를 이탈하거나 충돌의 위험성이 있는지 계속 관찰하고 통신해야 하는 탓에 24시간 내내 VTS의 불은 꺼지지 않는다. 서울시 면적에 맞먹는 인천항VTS 관제구역을 크게 세 구역으로 나누어 각 관제사가 지속적으로 선박자동식별장치(AIS)·레이더 화면을 모니터링하고, 해당 구역을 지나는 선장들과 교신한다. 홍석인 해양경찰청 해상교통관제과 주무관은 “화면을 끊임없이 모니터링 해야 해 한 구역을 두명의 관제사가 번갈아 관제한다”고 설명했다.

원거리에서 선박운항을 관찰하는 데에 필수적인 장치가 선박자동식별장치(AIS)다. 관제사들은 AIS는 선박의 명찰과도 다름없다고 설명한다. AIS에는 선박 명칭, 정보, 운항 속력, 방향이 상세히 적혀있다. 속력과 변침을 유지할 때 3분 후 선박 위치를 실선으로 나타내 주기까지 한다. AIS를 통해 선박이 충돌 위험이 있는지 미리 확인하고, 해당 선장들에게 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관제구역 내에 모든 선박과 관제센터가 실시간으로 교신할 수 있어야 한다. 관제사들과 선장들은 교신하는 초단파전화기(VHF)를 통해 관청 구역 내에 모든 선박이 소통할 수 있다. 인천항VTS 관제구역에 들어오면 비상 채널인 16번에 맞추고, 따로 통신을 해야 하는 선장끼리 혹은 관제사와 다른 채널로 옮겨가는 식이다. 초단파전화기(VHF)는 선박 간 접근이 쉽지 않고 원거리에서 소통할 수밖에 없는 해상교통관제 특성상 매우 중요하다. 선박교통법상 초단파전화를 통한 교신을 청취하고 답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인천항VTS에서는 VHF 교신으로 지난 2월께 음주운항 선박을 검거하기도 했다. 자정이 다 돼 인천 남항을 출항하는 70톤 규모 예인선의 선장과 교신하던 중 평소와 다르게 말투가 어눌하고 횡설수설해 경비정 검문을 요청했다. 지난해 2월 부산 광안대교에 부딪친 러시아 선박 사고 역시 음주운항에서 비롯됐다. 해당 선박의 선장은 당시 혈중알코올농도 0.086%의 만취상태였다. 음주운항 사고는 해마다 10여 건씩 발생하고 있으며 관제와 교신을 통해 4~6건 가량 단속된 바 있다.

관제구역 내에 있는 모든 선박이 같은 채널을 청취하는 탓에 일부 선박은 욕설을 하거나 노래를 불러 교신을 방해하기도 한다. 고의가 아니더라도 한 선박의 VHF 키가 눌려 있어 나머지 선박들이 교신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전에는 어떤 선박에서 교신이 오며, 어떤 채널을 듣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어 벌어지는 사고였으나 지난 2월부터 이조차 식별 가능해졌다. 인천항과 해경 함정 50여 척에서 시범적으로 ‘너의 목소리가 보여’ 프로그램을 통해 VHF 교신 채널과 선박을 확인하고 있다.

홍 주무관은 “과거 세월호가 진도연안VTS 관제구역에서 제주연안VTS 채널을 맞춰뒀다”며 “VHF채널을 식별해 사고를 더욱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addressh@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