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금리 0.25%P 인상…한미 금리차 역대 최대
美 5.25~5.50% 22년만에 최고
韓은 3.50%로 금리차 2.00%P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26일(현지시간) 기준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이로써 미국의 기준 금리는 기존 5.00~5.25%에서 5.25~5.50%로 올라 지난 2001년 이후 2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 됐다. 한국(3.50%)과 미국의 금리 차이는 역대 최대인 2.00%포인트까지 벌어졌다.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0.25%포인트 금리인상을 만장일치로 결정했다.

연준은 여전히 2%대 인플레이션 목표를 고수했다. 일부 경제 전문가들 사이에서 2%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3%가 경기침체를 피하면서도 물가를 안정시킬 수 있는 수치라는 주장이 제기돼왔다.

공개된 성명에서 연준은 “미국 은행 시스템은 건전하고 탄력적이지만, 신용 조건 강화로 고용 및 경제 활동, 물가에 부담이 될 가능성이 높다”며 “인플레이션 관리에 여전히 높은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3면

6월 연준 성명과 비교해서 크게 바뀐 점은 없었다. 인플레이션과 고용증가에 관해서 6월과 같은 단어를 사용했다. 인플레이션은 “고공행진(elevated)”을 지속하고 있고, 고용증가세도 “탄탄하다(robust)”고 평가했다.

다만, 성명은 미 경제성장세에 관해 6월 언급했던 “미약한(modest)”이라는 표현 대신 이번에는 “완만한(moderate)”이라는 표현으로 바꿨다. 연준이 말하는 ‘완만한’은 ‘미약한’ 보다 상위 표현으로, 경제성장세가 더 강해졌다는 뜻이다.

이어진 기자회견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9월과 11월 추가 금리 인상에 대해 “9월 20일 전까지 8주동안 나올 2번의 고용 관련 보고와 2번의 소비자물가지수 등 데이터를 고려하고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그간 물가 상승이 한 풀 가라앉고 전반적인 지표가 완만하게 돌아서며 이번이 마지막 인상이 될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지만, 파월 의장이 모호한 답변을 취하며 당분간 불확실성이 이어질 전망이다.

또 이번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하지 않은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우리는 많은 근거를 다루었지만 긴축의 완전한 효과는 아직 체감되지 않았다”며 “헤드라인 물가는 진정되고 있지만 여전히 근원 소비자물가는 증가하는 추세”라며 금리 인상의 정당성을 피력했다.

금리인상 종료 기대에 불을 붙인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 둔화에 대해선 “한 번의 좋은 지표”일뿐이라며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경계했다.

아울러 파월 의장은 모호한 답변을 이어가면서도 “연내 금리 인하는 없다”는 점만큼은 비교적 확실하게 짚어내면서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한 풀 꺾였다. 이민경 기자

think@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