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김정은, 군사정찰위성 발사 실패 인정…“더 크게 분발” 주문
“정찰위성 보유, 국가 주권 수호 과업…투명성 보장”
“전쟁무기로 위협하는 韓, 용서 못할 불장난” 위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8일 창립 60주년을 맞이한 국방과학원을 축하방문하고 기념연설을 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9일 보도했다.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연합뉴스

[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군사정찰위성 발사 실패를 인정하며 “목표했던 결실은 달성하지 못했지만 우리는 실패에 겁을 먹고 위축될 것이 아니라 더 크게 분발하게 될 것”이라고 주문했다.

29일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지난 28일 창립 60돌을 맞은 국방과학원을 방문해 이렇게 말했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어제(27일) 공화국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은 국가의 방위력건설목표에 따라 예정대로 또 한차례 정찰위성 발사를 단행했다”면서 “이번 발사는 1계단(1단) 발동기의 비정상으로 인한 자폭체계에 의해 실패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이 정찰위성 발사 실패를 인정하고 그 사유를 직접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군사정찰위성 보유는 주권 사안이며, 발사 전 투명성을 보장했다며 정당성을 부여했다.

김 위원장은 “군사정찰위성 보유는 미국의 군사적 준동과 갖은 도발행위들에 의해 국가의 안전환경에서 심중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형세 하에서 우리 국가가 자위적 억제력을 더욱 강화하고 잠재적인 위협들로부터 국가 주권과 안전을 수호하는 데서 선결필수적인 과업으로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가 당장에 실용적이며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통신위성이나 기상관측위성, 자원탐사위성이 아니라 정찰위성 보유를 선점목표로 정하고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은 이를 획득함이 우리 국가의 안전과 직결된 초미의 과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언제나 그러했던 바 그대로 이번에도 위성발사의 투명성을 보장하고 해당 역내에서 일체 선박 및 항공기들의 안전을 위해 국제적 법규를 존중하고 준수한 사전경보를 발령하였으며 주변국가들의 안전에 영향이 없도록 했다”고 강조했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8일 창립 60주년을 맞이한 국방과학원을 축하방문하고 기념연설을 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9일 보도했다.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연합뉴스

김 위원장은 “한국괴뢰들은 정찰위성 발사를 놓고 그 무슨 도발이라는 궤변을 늘어놓으며 저들의 강력한 능력과 의지를 보여주기 위한 일환이라고 지껄이면서 공격편대군비행 및 타격 훈련이라는 것을 벌여놓고 히스테리적 광기를 부리며 무력시위로써 우리에게 정면도전하는 짓을 감행했다”고 주장했다.

전날 우리 공군은 27일부터 30일까지 한미 연합으로 공대공 공대지 실사격 훈련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에는 F-35A, F-15K, KF-16 등 우리 공군 전투기와 미군의 무인공격기 ‘그레이 이글’(MQ-1C), A-10 공격기 등이 동원된다.

김 위원장은 “섣부른 언행 한마디도 극히 엄중시될 우리의 주권행사영역을 전쟁무기로 감히 위협해 나선 것은 분명 범연히 좌시할 수 없는 매우 위험한 도발 행위이자 우리가 격노하지 않을 수 없는 명백한 국권침해행위, 용서 못 할 불장난”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우리의 당당하고 정당한 주권적 권리행사에 광기적인 무력시위로 섣부른 대응을 택한 한국군부 깡패들의 망동에 절대적이고 압도적인 단호한 행동으로써 자위권의 행사는 확실하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가주권과 영토완정수호를 위한 군사적 보복력을 가동시키는 것은 우리의 헌법과 기타 법들이 승인한 공화국 무장력의 제일가는 사명”이라며 “적대 세력들이 무력을 사용할 엄두조차 내지 못하게 우리의 전쟁 의지와 능력을 압도적인 것으로 영구화해놓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